민주당과 진보정의당 등 야권이 혁신에 나서기로 했다. 민주당은 14일 당사 규모를 10분의 1로 줄이고 중앙당 당직자를 대폭 감축, 당 권력을 분산하면서 당 두뇌 집단인 '민주정책연구원'을 독립해 정책 개발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진보정의당은 16일 당 대회를 열어 자기 확신에 빠져 오만했고 북한을 제대로 비판하지 못한 지난날을 반성하면서 유럽식 사회주의 모델의 추구와 정치 개혁 등을 담은 7가지 약속을 내놓았다.
야권이 혁신에 나선 것은 지금의 지리멸렬한 상황을 타개하려는 몸부림이다. 민주당은 실체가 없는 '안철수 신당'에조차 뒤지며 10%대의 지지율에 머물고 있고 진보정의당 역시 국민의 외면으로 입지가 크게 좁아졌다. 이런 현실을 자각하고 뒤늦게나마 변화를 추구한 것은 의미가 있으며 지켜볼 만하다. 특히 진보정의당은 비교적 솔직한 반성과 처방을 내놓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야권의 혁신 방안에는 한계가 있으며 보완과 실천을 통해 풀어 나가야 한다. 민주당은 몸집 줄이기에만 치중해 기득권을 내려놓는 데에는 여전히 소극적이다. 정치 개혁을 외치면서도 실행하지 않아 대선에서 패배했던 점을 고려한다면 더 뼈를 깎는 노력이 필요하다. 진보정의당 또한 변화가 절실하다는 점에서 자성의 목소리를 구체적인 행동으로 이어나가야 한다.
앞으로의 정치 지형은 크게 변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양당 정치에 실망한 상황에서 안철수 의원 세력과 진보정의당 등이 연대하는 제3 세력화도 거론되고 있다. 이제 야권의 혁신은 정당 차원의 지지율 회복도 중요하지만, 기득권 포기와 새 정치 실천으로 나아가야 민심을 폭넓게 얻을 수 있으며 정치권 전체 쇄신의 촉매가 되어야 제대로 의미를 살릴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