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생 함께 보듬자던 여야, 'NLL 대화록'으로 격돌

새누리 지도부, 공개 압박…민주도 국정원 댓글로 공세

을(乙)의 눈물을 닦고 민생을 보듬자던 여의도 정치가 다 끝난 대선 정국으로 회귀했다. 지난해 대선 당시 최대 쟁점이었던 국정원 댓글사건과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북방한계선) 포기 취지 발언의 대화록 문제가 6월 국회의 전면에 등장해 여야가 격렬하게 대치하고 있는 것이다.

여야 모두 공방의 주역들도 대선 당시 야전에서 뛰던 '역전의 용사'들이다. 새누리당 경우 대선 당시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취지 발언이 담긴 대화록을 공개할 것을 주장하며 원세훈 당시 국정원장을 검찰에 고발까지 한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이 앞장서고 최경환 원내대표와 김재원 당 전략기획본부장, 조원진 제2정조위원장 등이 서 위원장을 엄호하는 형국이다.

민주당에선 대선 패배 후 잠행하던 문재인 캠프의 핵심 인물들이 활동량을 늘리고 있다. 박범계'김현 의원은 물론 장외에선 문성근'안도현'탁현민 등 친노 인사들이다. 특히 박범계 의원은 국회 법사위에서 "경찰이 (국정원 댓글사건에 대해) 지난해 12월 18일까지라도 제대로 된 수사결과를 발표했으면 대통령은 문재인이었을 것"이라고 했다. 이 발언은 박근혜 대통령의 정통성을 직접 타격하는 것이어서 여야 전면전의 도화선이 됐다.

여기에 당시 대선 후보이면서 두 사안 모두에 관련돼 있는 민주당 문재인 의원도 가세했다. 문 의원은 21일 긴급성명을 통해 "이제 10'4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할 것을 제의한다"며 "누차 강조했듯 결코 해서는 안 될 어리석은 짓이지만 이제 상황이 어쩔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앞서 새누리당은 민주당 측에 대화록 공개를 압박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21일 주요당직자회의에서 "노 전 대통령이 2007년 남북 정상회담에서 NLL 포기 발언을 한 것은 문서로 공식적 사실 확인만 못했을 뿐이지 야당인 민주당을 포함해 모두가 알고 있는 사안"이라며 "민주당은 '축약본이 원본과 다르게 조작됐다'고 주장했는데 그렇다면 축약본이 조작된 게 아니라는 것을 밝히기 위해서라도 원본을 공개해야 한다"고 공격했다.

이에 대해 정치권 일부에선 "국내외 경제 상황이 최악으로 치달으면서 국내 증시가 추락하고 민생 경제는 파탄 지경인데 국회는 예전 정쟁으로 일삼던 문제를 다시 꺼내 들고 싸우고 있는 꼴"이라며, "얼마 전만 해도 을(乙)의 눈물을 닦아주고 민생 현장에서 함께 하겠다던 여야가 어디 갔는지 한심스럽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