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장애 급증 소식이 전해져 눈길을 끌었다.
18일 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 통계에 따르면 '수면장애(질병코드 G47)'로 진료받은 환자는 2008년 22만8000명에서 2012년 35만7000명으로 1.57배 늘었다.
473명 수준이던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도 4년 새 1.52배인 719명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관련 진료비도 195억원에서 353억원으로 1.81배 늘었다.
성별로 보면 지난해 기준으로 여성 환자가 21만2000명으로 남성 14만5000명보다 1.46배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50대가 7만5000명(21%)으로 가장 많고, 이어 70대 19.1%, 60대 17.2%, 40대 15.2% 등의 순으로 전반적으로 중고령층이 수면장애를 많이 호소했다.
수면장애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쉽게 잠들지 못하거나 자주 깨는 '불면증' 환자가 23만7931명(66.7%)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상세불명 수면장애' 8만4287명, 수면 중 상기도가 막히는 '수면성 무호흡' 2만6168명 등이 뒤를 이었다.
이 같은 수면장애는 비만인구의 증가와 급격한 환경 변화, 스트레스 증가, 과도한 업무에 따른 수면습관의 변화 등이 1차적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정상적인 노화과정에 따른 수면구조의 변화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수면장애 급증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수면장애 내 친구도 있는데 진짜 힘들어하더라" "불면증 이유가 여기 있었구나" "수면장애 급증 했다니 점점 현대사회서 생기는 병이 많아지는 듯" "수면장애 걸리면 진짜 힘든데~ 급증했다니 무섭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뉴미디어부01 maeil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