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 로봇기업의 규모가 영세하고 전문성이 부족해 자생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로봇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지자체간 정책 공조도 미흡해 로봇산업이 대구경북의 신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협력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신생·영세기업 많아 자력성장에 한계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와 포항본부가 공동으로 발표한 '대경권 로봇산업의 육성현황과 정책과제' 보고서(연구자 김진홍·최수미)에 따르면 로봇기업들은 대부분 신생 또는 소기업이어서 자력성장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로봇기업 가운데 업력 10년 이내 신생 기업(2011년 기준)과 상시근로자 50인 미만 소기업 비중이 각각 57.7%, 63.5%를 차지했다.
또 로봇산업 성장단계별 분류에서도 전체 로봇기업 가운데 진입검토기와 개발단계에 있는 기업 비중이 각각 30.2%와 37.2%를 기록했다. 반면 생산단계와 성숙기에 접어든 기업 비중은 각각 14%와 11.6%에 그쳤다.
뿐만 아니라 대구경북 로봇기업 가운데 로봇 매출 비율이 100%인 로봇전문기업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17개, 동남권에 5개, 충청권과 호남권에 각 1개의 로봇전문기업이 있는 것과 대비된다. 로봇기업 취업자수도 전체 취업자의 3%에 불과해 고용면에서도 지역 경제에서 차지하는 영향이 미미했다.
◆금융지원도 미흡
로봇산업에 대한 금융지원은 정부의 신성장동력 투자펀드와 지자체의 정책자금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신성장동력 투자펀드의 경우 매출액 300억원 이상 중견기업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지역에서는 조건을 충족하는 기업이 전무한 실정이다. 실제 경북 한 중소기업은 우수한 품질의 유리창청소로봇을 개발해 놓고도 자금부족으로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업이 개발한 유리창청소로봇은 지난해 지식경제부 100대 일류상품에 선정됐다. 하지만 유럽 국가들과 300억원 규모의 수출 상담을 진행하던 중 양산체제 구축을 위한 자금조달에 실패하면서 이 기업은 결국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지자체별 육성, 협력 체계 구축 필요
대구경북은 전체를 아우르는 정책 목표와 체계적인 세부 실행계획이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로봇산업 육성 주체가 대구와 경북으로 이원화되면서 유관기관들도 해당 지자체를 중심으로 사업을 추진하다 보니 협력보다 정부지원을 얻기 위한 경쟁 구도를 주로 형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대구경북에서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입해 개발하고 있는 수중해양로봇과 사회안전로봇 등은 대부분 공공수요에 기반을 두고 있어 개발 후 수요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됐다. 경북에서 개발중인 소싸움로봇과 대게관 안내로봇의 경우 수요가 단발성에 그칠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민간시장을 목표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실용로봇 중심으로 로봇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