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엔비디아 부사장 SK AI서밋 참석 "피지컬 AI 시대 열 것"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펜로즈 엔비디아 부사장. SK뉴스룸 제공
펜로즈 엔비디아 부사장. SK뉴스룸 제공

크리스 펜로즈 부사장은 5일 "향후 피지컬 AI가 제조, 자동차,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서 인간의 역량을 확장하는 새로운 산업 혁신 시대를 열 것"이라고 밝혔다.

펜로즈 부사장은 이날 SK텔레콤 뉴스룸 인터뷰에서 "앞으로는 에이전틱 AI를 기반으로 한 피지컬 AI가 도약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 3∼4일 SK그룹이 개최한 'SK AI 서밋 2025' 참석을 위해 한국을 찾았다.

펜로즈 부사장은 "우리는 제조된 '지능'이 전 세계 모든 산업의 근간이 되는 새로운 'AI 기반 산업혁명' 시대에 진입하고 있다"며 "AI의 진정한 가치는 인간의 작업 규모와 생산성을 끌어올리고, 새로운 형태의 창의성과 혁신을 여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또 "한국이 AI 분야 리더십을 유지하려면 기술, 인재, 그리고 풀스택 생태계 협력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SK텔레콤의 AI 전략에 대해서는 "엔비디아가 구상하는 'AI 네이티브' 통신사 비전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투자와 파트너십을 구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펜로즈 부사장은 SK텔레콤이 GPUaaS(서비스형 GPU) 플랫폼을 통해 기업과 공공기관에 확장 가능하고 안전한 AI 인프라를 제공하고, CIC(사내독립기업) 형태의 AI 전문 조직을 설립해 타 통신사들에 모범 사례를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다수의 거대언어모델(LLM)을 자체 개발해 오픈소스로 공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AI 솔루션 개발을 지원하며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최첨단 모델을 신속히 도입·현지화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 기업과 개발자들에게 전하는 메시지로 "생성형 AI가 많은 산업에 혁신을 가져왔다"며 "이는 곧 에이전트 AI 및 피지컬 AI 솔루션의 기초가 돼 글로벌 경제를 지탱하는 필수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더 큰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조직들은 모델 배포 및 미세 조정,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워크플로 통합 역량 구축에 투자하고 고품질의 구조화된 데이터 생성에 집중하며 지능이 모든 비즈니스 계층에 내재되도록 운영 방식을 재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