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 최초 주택구입자에게 연 1~2%의 저금리로 자금을 빌려주는 수익'손익공유형 모기지 신청이 접수 1시간 만에 마감됐다. 국토교통부는 수익'공유형 모기지가 큰 인기를 얻음에 따라 대출 심사 일정을 앞당기는 한편 연내 추가 사업 여부를 검토하기로 했다.
◆누가 신청했나
우리은행에 따르면 홈페이지를 통해 1일 오전 9시부터 선착순으로 수익'손익공유형 모기지 신청을 받은 결과, 시작 54분 만에 신청 제한선인 5천명을 모두 채웠다. 지역별로는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 거주자가 3천970명으로 79.4%를 차지했고 지방 5대 광역시 거주자는 1천30명으로 20.6%에 달했다. 대구에서는 202명이 신청을 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3천276명(65.5%)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30대 신혼부부'직장인들의 신청이 많았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주택 매입 예정가격은 2억~3억원이라 밝힌 신청자가 전체의 44.5%를 차지했으며 이어 1억~2억원(23.9%), 3억~4억원(20.7%), 4억~5억원(5.5%)의 순이었다.
◆인기 원인
수익'손익공유형 모기지에 신청자가 한꺼번에 쏠린 것은 대출 대상인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들의 주택 구매 동기를 충분히 자극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선 금융비용 때문에 주택 구입을 망설였던 사람들에게 연 1%대의 초저금리 대출이 큰 매력으로 부각됐다는 평가다.
정부가 집값 변동에 따른 수익은 물론 손실까지 분담하기로 하면서 주택 구입자들이 주택시장 리스크에 대한 부담을 덜었다는 점도 한몫을 했다.
또 전세난이 심화하면서 전셋집 구하기가 어려워진데다 향후 집값이 지금보다 크게 떨어지진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부동산 전문가는 "전세난으로 고통받던 세입자들이 이번 기회에 집을 사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것 같다. 주택거래를 살리기 위한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향후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를 어느 정도 잠재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심사 일정 앞당겨, 연내 추가 사업 검토
국토부는 신청자들의 사정을 고려해 대출 심사 일정을 최대한 앞당길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공휴일까지 반납해 대출 심사에 속도를 낼 경우 대출 가능 여부 통보일을 당초 11일에서 8일쯤으로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는 인터넷으로 접수된 5천 가구에 대해 2일까지 우리은행 지점을 통해 대출 서류를 받은 뒤 1차 서류 심사를 거쳐 4천 가구를 선정한 뒤 감정원의 현장 가격조사와 우리은행의 대출심사평가 점수 산정 등을 거쳐 최종적으로 3천 가구를 선발할 방침이다.
또 수익'손익공유형 시범사업 물량을 연내 추가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올해 말까지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들의 주택구입이 늘어날 것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추가 물량은 2천 가구 정도가 될 것으로 알려졌다. 1차 시범사업 대출이 종료되는 이달 중순 이후 본격적인 검토작업에 착수해 이달 말~11월 중 추가 사업 여부와 물량 등을 확정할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수익'손익공유형 모기지 제도를 일반화해 내년부터 본사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한편 수익공유형은 집값의 최대 70%(2억원 한도)까지 1.5% 금리로 대출받는 대신 매매 차익이 발생했을 때 일부를 주택기금에 돌려줘야 하는 상품이다. 이와 달리 손익공유형은 1~2% 금리로 집값의 최대 40%(2억원 한도)까지만 대출 받는 대신 집값이 올랐을 때뿐 아니라 내렸을 때 손익을 주택기금과 공유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경달기자 sara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