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문경세계군인체육대회' 남의 일인가

스포츠를 통해 세계 군인들의 우정과 화합을 도모하는 문경세계군인체육대회 개최가 내년 10월로 다가왔는데도 해당 지자체와 국방부가 서로 책임을 떠넘기며 불협화음을 빚고 있어 걱정이다.

개최 도시인 문경에서는 이 문제가 선거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어 더욱 혼란스럽다. 고윤환 문경시장이 "인구 8만의 농촌 도시에 세계군인체육대회를 벌인 것 자체가 무모한 일이었다"고 골치 아픈 속내를 드러내자, 신현국 전 시장이 "지역 발전을 위해 사활을 걸고 유치했는데 그동안 무엇을 했느냐"며 맞받고 있는 형국이다.

여기에다 경북도가 중계방송이 없는 군인체육대회의 흥행 부진을 예상하면서 도비 지원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국방부마저 대회를 유치한 지자체의 당초 약속을 들먹이며 '알아서 하라'는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2015 경북문경세계군인체육대회'의 최대 현안은 선수촌 건립이다. 이와 관련, 보궐선거로 입성한 고 시장은 "선수촌 건립은 이미 물 건너간 상황이었다"며 전 시장의 무책임한 대회 유치를 공격하고 있다. 그러나 신 전 시장은 "충분한 준비 기간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아 대회 성공 분위기에 찬물을 끼얹었다"고 공박하고 있다.

문경시는 다중 숙박 시설과 STX 리조트, 학교 기숙사와 국군체육부대 숙소에 4천200명을 수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지만, 절반에도 못 미치는 규모이다. 대회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대회조직위의 문경 이전도 진전이 없고, 3배로 늘어난 추가 예산 부담금도 역부족이라고 한다.

내년 10월 2일부터 열흘간 110개국 9천여 명의 선수단이 참가한 가운데 문경을 비롯한 경북 지역 8개 시군에서 분산 개최되는 문경세계군인체육대회는 지구촌의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국에서 열린다는 상징성이 강하다. 북한군 초청 등 세계 평화를 명분으로 내걸며 지역 발전의 기회로 활용할 여지가 얼마든지 있는 것이다.

기왕 판을 벌여놓은 국제 행사인데, 서로 책임을 미루며 차일피일 세월만 보낼 일이 아니다. 문경시와 경북도 그리고 국방부가 모두 내 일처럼 소매를 걷어야 한다. 주어진 여건 아래 대회를 알차고 멋있게 치르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