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크림 반도 주민투표 "러시아 귀속 찬성93%…심기 불편한 美"

'크림 반도 주민투표에서 러시아 귀속 찬성이 93%투표결과를 보였다' 사진. 연합뉴스

우크라이나 크림 공화국에서 16일(현지시간) 실시된 주민투표에서 크림의 러시아 귀속에 찬성에 대해 93%의 출구 결과가 나타났다.

크림 정치사회연구소는 이날 오후 8시(현지시간) 주민투표가 종료된 뒤 발표한 출구조사 결과에서 "크림의 러시아 귀속에 93%가 찬성했고, 7%가 1992년 크림 헌법 복원과 크림의 우크라이나 잔류에 찬성했다"고 전했다.

크림 선거관리위원회는 투표율이 80%로 지난 2012년 총선 때보다 높은 참여율을 보였으며, 세바스토톨의 투표율은 85%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앞으로는 러시아가 크림을 러시아 연방의 일원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하원 심의와 상원 승인, 대통령 서명 등을 통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이에 앞서 이날 오전 8시(현지시간. 한국시간 오후 3시)부터 크림 공화국 내 1천205개 투표소가 일제히 문을 열었다. 전체 주민이 약 200만명인 크림 공화국에선 18세 이상의 성인 약 150만명이 유권자 등록을 했다.

크림반도에 있지만, 행정구역상 크림 공화국에 속하지 않는 '특별시'의 지위를 가진 남부도시 세바스토폴에서도 별도의 주민투표가 실시됐다. 192개의 투표소가 차려진 세바스토폴에서는 약 30만명이 등록했다.

이번 크림반도 주민투표 용지에는 '크림이 러시아 연방의 일원으로 들어가는 것에 찬성하는가'와 '1992년 크림 공화국 헌법 복원과 크림의 우크라이나 잔류를 지지하는가'란 두 가지 질문이 주어졌다.

크림 의회는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가 독립한 이듬해인 1992년 공화국도 역시 우크라이나에서 독립한다는 내용의 개헌안을 채택했으나, 우크라이나 중앙정부가 허락하지 않아 자치권을 부여받는 선에서 타협했다. 따라서 두 번째 항목은 독립을 선포한 당시 헌법으로 복귀한다는 뜻이다.

한편 유럽연합(EU)과 미국 등 서방은 이번 주민투표가 국제법 위반이라며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황이다.

하루 앞선 15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미국의 요청으로 15개 이사국 전체회의를 열어 '크림 주민투표 무효' 결의안을 표결에 올렸으나 결의안 채택이 무산됐다.

무효 결의안에 유엔 안보리 5대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거부권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미국과 한국 등 나머지 13개 이사국은 찬성했고 중국은 기권을 했다.

크림 반도 주민투표에 누리꾼들은 "크림 반도 주민투표 결과 놀랍다" "크림 반도 주민투표 확고하네요~ 미국 당황했을 듯" "크림 반도 주민투표 93% 놀랍네" "크림반도에 러시아 사람들이 대부분이니 당연한 결과일지도" 등의 반응을 보였다.

뉴미디어부01 maeil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