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체육 교수들이 본 월드컵]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빛과 그림자'

세상 일이 다 그러하듯,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개최도 알고 보면 밝은 면 못지않게 어두운 면이 있다. 브라질 월드컵대회도 준비에 전력하고 있는 정부나 조직위원회와는 달리, 한쪽에서는 개최 자체를 극렬히 반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대회의 화려함에 가려 조명을 받지 못하고, 일부 국가에서는 언론의 노출이 철저히 차단당하기도 한다. 그러나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하고, 스포츠가 세계인의 평화를 외면하지 않으려면 그에 대한 논의는 필요한 과정이다.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개최는 경제적 효과 면에서 본질적인 한계를 안고 있다. 대표적인 경우로서 1976년 캐나다 몬트리올 올림픽은 12억2천800만달러의 적자를 낸 후 100억달러가 넘는 부채를 30년간 특별세를 거둬 청산하였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은 시(市)에 21억달러, 정부에 40억달러의 적자를 안겼으며, 1998년 일본 나가노 동계올림픽은 개최 10년 뒤에도 시민 1인당 356만엔의 부채를 떠안겼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도 개최 예산이 애초 16억달러로 책정되었으나 실제로는 160억달러가 투입되어 그리스가 경제위기를 맞은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2006년 카타르 도하아시안게임은 28억달러, 2010년 중국 광저우 아시안게임은 200억달러의 예산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우려한 베트남은 최근 2019년 하노이 아시안게임의 개최를 포기하였다. 이는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관광산업 성장 수치가 개최 기간은 일시적으로 증가하지만, 개최 후에는 급감하여 경제성장률이 하락함을 의미한다.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개최에 저항하는 또 하나의 경우는 정치적인 이슈와 관련된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최 때 신장위구르 자치구의 위구르족과 티베트 승려들은 인권침해와 종교문제의 정치쟁점화와 관련하여 올림픽의 개최를 반대하였다.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은 철저히 푸틴만이 주인공인 행사였다는 비판도 있다. 이러한 저항과 비판에 대해 묵묵부답이었던 베이징 올림픽과 소치 동계올림픽은 강대한 제국의 과도한 민족주의로 점철되었다는 역사적 비판을 면할 수 없게 되었다.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개최는 소수 약자의 희생이 전제될 수밖에 없다는 비판도 있다. 이번 브라질 월드컵이 대표적이다. 최소한 50개 도시에서 빈민단체와 사회단체 회원들이 상파울루 경기장 근처 도로를 점거한 채 월드컵대회에 막대한 공적 자금을 투입한 사실을 비판하면서 복지와 교육 등에 대한 투자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발표한 브라질 월드컵의 개최 비용은 약 14조5천억원으로서 이는 한'일 월드컵의 3배, 남아공 월드컵의 4배에 이른다. 복지와 고용, 교육에 필요한 예산의 삭감이 약자 계층의 저항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이와 함께 환경문제도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주요 관심사다. 1976년 동계올림픽을 유치했던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시는 올림픽경기장의 건설로 야생동물들의 서식지가 파괴되는 것이 문제가 되어 주민투표를 해 60%가 반대를 하자 개최권을 반납하였다. 또 독일은 2022년 동계올림픽을 개최하려 했으나 환경훼손을 우려한 국민의 저항으로 포기했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메가 스포츠이벤트들은 몸살을 앓고 있다.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개최가 국가나 도시의 홍보와 더불어, 경제적인 부(富)를 안긴다는 전통적인 고정관념은 이제 되돌아 볼 때가 되었다. 우리 정부나 지자체들은 무분별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유치는 국가나 개최지에 독(毒)이 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김동규 영남대 교수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