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남부권 신공항 입지 선정, 긍정 논리 개발로 경쟁해야

권영진 대구시장이 남부권 신공항 입지 선정과 관련해 영남권 5개 지자체 모두 접근하기 쉬운 곳, 항공 물류 수송이 가능한 규모 등 절대 전제 조건을 국토교통부에 제시하고, 특정 지역에 치우친 입지 선정은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밝혔다. 정부의 사전 예비 타당성 조사 평가(과업지시서) 문항 작성을 앞두고 부산의 일방적 주장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음을 분명히 밝힌 것이다.

현재 부산은 24시간 가동 국제공항, 확장 용이성 문제를 과업지시서에 포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부산을 제외한 4개 시도가 지지하는 밀양 인근에 군사시설이 있어 24시간 가동과 확장이 어렵다는 점을 겨냥한 것이다. 또, 부산은 정부가 요구하는 5개 시도 합의서에 대해서는 지역 갈등을 부추긴다는 이유로 동의할 수 없다는 태도이다. 이는 지지 지자체 숫자에서 밀리는 데다 가덕도가 접근성 용이라는 절대적인 기준에서 크게 뒤떨어진다는 점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첨예한 대립은 이미 한 번 무산됐던 이명박정부 때와 비슷해 지역갈등을 내세운 수도권과 정치권의 신공항 무용론과 맞서는 데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해관계가 맞서고, 심각한 지역갈등이 예상되는 문제는 이를 대국적으로 바라보는 것이 가장 현명한 해결 방법이다. 경제성과 효율성이다. 얼마나 적은 비용으로 건설할 수 있으며, 얼마나 많은 인원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가가 중요하다. 이 두 가지를 제외한 나머지 문제는 비중이 크지 않고, 오히려 지역 이기주의로 공격받을 수 있는 것들이다.

대구와 부산으로 대표되는 양 지자체는 상대의 불리한 조건을 공격하는 네거티브가 아니라 긍정적인 논리로 상대의 입지 조건보다 더 낫다는 것을 증명해야 한다. 대구는 신공항 예정지의 모든 것을 분석해 부산이 주장하는 24시간 가동이나 확장 용이성에 아무 문제가 없음을 밝혀야 한다. 부산도 마찬가지다. 일방적인 주장보다는 막대한 건설비와 접근성 부족이라는 비판에 대해 전 국민과 정부를 설득할 명분을 내놓아야 한다. 남부권 신공항은 대구'경북'경남'울산 대 부산의 경쟁이나 영남권만의 문제가 아니라 수도권과 강원을 제외한 남부권 2천400만 명의 미래가 달린 국가 과제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