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문경온천 지분매각 주민들이 막아섰다

7일 문경시 문경읍 하리 문경온천지구 내에서
7일 문경시 문경읍 하리 문경온천지구 내에서 '시민온천 살리기 대책위원회'가 주민들과 함께 문경시 직영 온천 매각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문경시가 문경시립요양병원(대구한의대 위탁운영) 지하에 만들어져 있는 문경기능성온천(문경온천)을 개인에게 지분매각하기로 결정, 논란이 일고(본지 11월 20일 자 1면 보도) 있는 가운데 주민 100여 명이 '시민온천 살리기 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7일 문경온천지구와 전통시장 등에서 지분매각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었다.

주민들은 "문경시가 온천을 폐쇄하는 것이 아니라 온천 운영을 개인에게 맡기는 것이 낫다고 판단, 지분매각을 한다고 밝히고 있지만 매입자가 온천을 폐쇄하고 다른 시설로 대체해도 이를 견제할 장치가 없기 때문에 신뢰할 수 없다"며 "매각하지 않고 위탁이나 임대운영하는 방법도 있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이어 "문경온천은 2004년 적자인데다 민자 유치한 온천장에 부담을 준다며 완전 철거했다가 2006년 약간의 적자를 감수하더라도 문경관광 활성화와 문경읍에 대중목욕탕이 하나도 없는 현실을 받아들여 다시 37억원을 들여 건립한 것"이라며 "일관성 있는 행정을 보여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특히 "현재 온천은 문경시립요양병원 건물(7천295㎡ 지하 1층'지상 4층 152병상 규모) 지하에 있는 집합시설이기 때문에 매각할 경우, 건물 지상은 문경시 소유, 지하는 개인 소유가 된다"며 "지하 지분매각은 문경시립요양병원 전체 매각으로 이어져 문경시에 더 큰 손실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이들은 이날 유인물 등을 통해 고윤환 문경시장이 지난 6'4 지방선거 때 당선되면 문경온천을 지금처럼 시민의 재산으로 유지한다고 거듭 약속했는데 갑자기 매각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해명을 요구하기도 했다.

문경온천지구에는 2001년 민자 유치로 개장한 문경종합온천(2천500명 동시 수용)과 1996년 건립~2004년 철거~2006년 다시 건립된 문경온천(400명 동시 수용) 등 2곳이 영업을 하고 있다.

감사원은 지난해 1월 "온천 사업이 지역민의 공공복리를 위해 자치단체가 반드시 운영해야 할 사업이라고 보기 어렵고, 적자 운영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은 채 민간온천과 경쟁하면서 운영하는 것은 잘못된 결정"이라며 문경시장에게 적자를 해소하거나 매각하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통보했었다.

그러나 문경시는 "민간업체에 경쟁이 되거나 적자를 내는 자치단체 사업체를 매각하라고 한다면 지자체의 숙박과 관광시설 등 거의 모든 시설이 해당될 것"이라며 "감사원 권고보다 주민 의견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