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릉국민임대주택 부지 선정 "뭔가 수상해"

전체 부지 면적 46% 5022㎡ 사업 담당 공무원 일가 소유

울릉국민임대주택 건설 사업의 부지 선정에 대해 뒷말이 무성하다. 부지의 상당 부분이 이 사업을 담당한 울릉군 공무원 일가 소유인 탓이다.

울릉국민임대주택 건설 사업은 주택난에 허덕이는 울릉도에 임대주택 110가구를 짓는 사업이다. 도동리에 70가구, 서면에 24가구, 북면에 16가구가 들어선다.

사업을 추진하는 한국토지주택공사는 2012년 10월 현지조사를 벌이고, 울릉군과 협의를 거쳐 현행 사업계획 부지를 확정했다.

문제가 된 곳은 도동이다. 도동지역 매입 부지 면적은 모두 1만845㎡. 이 가운데 46.3%인 5천22㎡가 사업을 담당하는 주무부서 C계장 일가 소유다. 4천418㎡는 C계장 부부 소유, 604㎡는 해당 공무원의 제수 명의다.

당초 이 사업은 울릉군이 부지를 제공하는 조건으로 진행됐다. 현재 사업부지는 울릉군이 사들인 상태다. 이 업무도 C계장이 담당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의 현지조사 전 C계장이 해당 부지 벌목작업을 했다는 다수의 울릉군 주민 증언도 있어 뭔가 석연치 않은 대목이다. 이 사실은 최근 국토교통부 고시를 통해 주민들에게 알려지며 논란이 일고 있다.

울릉군 한 주민은 "드러난 사실로만 보자면 해당 공무원이 부지 선정에 영향을 미쳤을 개연성이 높다"고 했고, 다른 주민은 "논란이 될 만한 소지가 충분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C계장은 "도동에 마땅한 부지가 없었고, 한국토지주택공사 본사 상임감사 등이 현지를 방문해 두 곳 후보지에 대한 조사를 거쳐 결정한 것"이라며 "벌목 작업은 훨씬 이전의 일"이라고 해명했다.

울릉군의 주택보급률은 78%로 전국 평균인 102.7%에 비해 크게 낮다. 지역 특성상 자재 운송 등의 문제로 건축비가 육지보다 2배가량 비싸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민간업체들이 주택 건설을 꺼리는 것이 주택보급률이 낮은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힌다.

울릉군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2008년 울릉읍 저동리에 국민임대주택 71가구를 지어 호응을 얻은 데 힘입어 2012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오는 3월쯤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가 2017년까지 울릉국민임대주택 건설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