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자원외교 비리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던 중 숨진 채 발견된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현 정권의 전직 대통령 비서실장과 친박계 핵심 인물 등에게 돈을 건넸다고 폭로한 '성완종 리스트'(금품메모)에 대해 수사에 착수키로 해 정국이 요동치고 있다.
검찰의 이번 결정은 10일 성 전 회장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메모에 5, 6명의 이름이 등장하고, 정가에 '허태열 7억, 김기춘 10만달러, 유정복 3억, 홍문종 2억, 홍준표 1억, 부산시장 2억, 이병기, 이완구'라는 메모가 돌면서 정권 실세들을 겨냥한 검찰의 수사가 불가피하다는 여론과 정치권의 수사요구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김진태 검찰총장은 이날 오후 박성재 서울중앙지검장과 최윤수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를 불러 "성완종 전 회장의 메모지 작성 경위 등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을 확인하고, 관련 법리도 철저히 검토해 결과를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김기춘'허태열 전 대통령 비서실장 등 현 정권의 유력인사들에게 금품을 전달한 정황이 담긴 성 전 회장의 메모를 두고 검찰이 본격적인 수사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김 총장은 '흔들림 없는 부정부패 수사'도 주문했다. 김 총장은 "부정부패 척결은 검찰의 사명이자 존립근거"라며 "자원개발 비리 등 수사과정에서 불행한 일이 발생한 것은 대단히 안타깝지만 현재 진행 중인 부정부패 수사를 한 점 흔들림 없이 의연하게 계속해 실체적 진실을 밝히라"고 말했다. 김 총장은 이날 대검 간부회의를 소집해 서울중앙지검의 부정부패 수사 전반을 점검했다.
성완종 리스트 공개 후 긴장 속에 파장을 예의주시해 온 새누리당과 청와대는 검찰이 성완종 리스트에 대해 수사를 벌이기로 하자 큰 충격에 휩싸였고, 야당은 총공세를 펼치는 등 정국이 태풍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성 전 회장의 '폭로'가 정권의 심장부를 겨냥하고 있다는 점에서 청와대와 새누리당은 벌집을 쑤신 듯 당혹해하는 분위기다.
'성완종 리스트'는 현 정부에 대한 중간평가 성격이 짙은 4'29 재보궐선거에 큰 악재다. 거명된 인물들 대다수가 친박계 핵심들이어서 현 정부의 도덕성에도 큰 상처가 날 수 있다. 설상가상으로 이 같은 의혹이 계속 확산하거나 조금이라도 사실로 드러나면 내년 총선과 후년 대선에까지 상당한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여권 입장에서는 박근혜정부 3년 차를 맞아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각종 국정개혁 과제 추진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도 있다. 서상현 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