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환자 6일만에 4명 발생…확산 막을 방법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네 번째 환자가 발생했다. 보건당국은 메르스의 확산 추세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메르스의 네 번째 감염자가 확인됐다고 26일 밝혔다. 네 번째 감염자는 세 번째 감염자 A씨(76)를 간호하던 40대 딸 B씨다.
B씨는 A씨의 메르스 감염 사실이 확인된 이후 감염자와 밀접 접촉자라는 이유로 자가 격리 상태에 있었다. 그동안은 콧물과 재채기, 기침 등의 증상을 보였지만 기준치 이상의 고열은 없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날 B씨 체온이 유전자 검사와 격리 병상 이동 기준인 38도를 넘어서자 국가지정 격리 병상으로 옮기고 유전자 검사를 실시했다. 검사 결과 양성으로 확진 판정이 나왔다.
B씨는 아버지 A씨와 국내 첫 메르스 환자인 C씨(68)가 함께 쓰던 2인실 병실에 4시간 동안 체류하면서 A씨와 함께 감염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C씨의 부인, A씨에 이어 2차 감염된 세 번째 환자가 됐다.
B씨는 현재 발열과 두통 외에 특이사항이 없고 안정적인 상태여서 특별한 치료 없이 격리 관찰 중이다.
보건당국은 메르스 감염이 더 확산되지 않을까 긴장하고 있다.
현재의 확산세는 '2차 감염'에 머무르고 있지만 지난 20일 첫 환자 발생 이후 6일 사이 벌써 4번째 환자가 발생했기 때문에 증가세는 꽤 빠른 편이다.
전문가들은 메르스의 잠복기가 최대 14일(최소 2일, 평균 5일)이라는 점을 고려해 국내 첫 환자가 발생한 이후 2주 내에 확산세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메르스는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견돼 현재까지 중동·유럽 등지에서 471명의 목숨을 앗아간 치명적인 바이러스 질환이다.
21일 기준으로 유럽질병통제센터(ECDC)에 보고된 1154건은 대부분 중동지역에서 발생했다. 그중에서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발생한 환자가 1002명으로 가장 많다.
지금까지 아시아 지역 사망자는 말레이시아 1명뿐이었다.
메르스의 정확한 전염 경로는 확인되지 않지만 낙타, 박쥐 등 동물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예방을 위해서는 중동 지역을 여행할 때 되도록 낙타 농장·시장을 방문하지 않고, 멸균되지 않는 낙타유 등을 접하지 않아야 한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고 손을 자주 씻는 등 기본 감염 예방수칙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다.
뉴미디어부01 maeil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