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귀농귀촌인에게 '기회의 땅'이 된 경북 농촌

경북도가 2023년까지 귀농귀촌인 5만 명 유치 계획을 세우고 경북 농촌의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삼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지속적인 이농(離農)과 농촌 고령화로 활력 잃은 농촌에서 귀농귀촌인 유치로 지속가능한 농촌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계획에서다. 아울러 도는 경북이 새 '기회의 땅'이 되도록 23개 시'군과 맞춤형 지원책도 개발키로 했다.

경북도는 2004년 통계청의 전국 귀농귀촌 인구 첫 조사 이후 지금까지 11년 연속 전국 1위를 지켰다. 지난해 전국 귀농가구 1만1천144가구 1만8천864명 가운데 경북은 2천172가구 3천688명이었다. 전체의 19.5%로 5가구 가운데 1가구꼴로 경북을 선택했다. 2위 전남의 1천844가구, 3위 경남의 1천373가구에 비해 압도적이다. 이렇게 지난 11년간 경북 농촌에서 1만8천920가구가 새 삶을 꾸렸다.

경북이 전국에서 귀농귀촌 1번지로 떠오른 데는 경북도와 시'군의 특색있는 정착 대책이 한몫했다. 상주시는 최근 3년 동안 1천304가구 2천334명이 몰려 1개 면이 생기는 효과를 봤다. 정착 자금 2천만원 등 파격적 지원 덕분이다. 문경시는 대학생 자녀 1명에게 학자금 100만원을 지원한다. 경북도 역시 지속적인 귀농귀촌 박람회와 상시 찾아가는 설명회 개최, 임시 거주지 마련, 멘토링 시스템 구축, 고소득 작목개발 등 맞춤형 지원책을 마련해 두고 있다.

다양한 지원과 함께 젊은 청장년층의 준비된 귀농인의 부농(富農) 꿈 실현도 잇따르고 있다. 예천에 보금자리를 마련한 50대 귀농인은 블루베리 재배로 연 1억5천만원, 서울에서 귀농한 40대 역시 예천에서 약 도라지로 연 1억원 넘는 소득을 올리고 있다. 이처럼 경북 농촌은 새 꿈을 꾸는 귀농인에게 '기회의 땅'이 되고 있다. 아울러 이들로 인해 경북은 새 에너지원을 확보, 활력을 찾고 있는 셈이다.

어려움도 있다. 지자체의 재정 부담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박민수 국회의원이 정부의 지원을 주장하는 이유다. 이는 귀농귀촌인의 지속 유지를 위해서도 필요하다. 귀농귀촌인으로 농업과 농촌의 활력과 발전을 위한 국가지원 확보 노력도 병행해야 한다. 특히 농도인 경북도는 지금의 적기를 농촌의 새 도약 계기로 삼고 정책개발에 더욱 고민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