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경북의 별도 국가기념일 추진, 되살펴볼 점 없나

대구시와 경북도가 각각 국가기념일 지정 및 제정을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기념하는 주제도 서로 다르고 손을 잡고 함께 추진하는 단체도 다르다.

대구시와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는 지난달 28일 2·28민주운동의 국가기념일 지정 추진을 선포했다. 대구 두류공원에서 열린 제56주년 2·28민주운동기념식에서다. 이를 위해 대구시와 기념사업회는 광주시 등과 손잡고 전 국민을 대상으로 100만 명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국가기념일 지정에 영호남의 힘을 모은다는 상징적인 알림인 셈이다.

경북도도 할매할배의 날 국가기념일 제정에 나섰다. 이를 위해 경북도는 지난달 28일 대한노인회에 협력을 제안했고, 대한노인회는 이사회를 열어 경북도의 제안을 승인했다. 지난 2014년 10월,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손주가 부모와 함께 할머니 할아버지를 찾도록 하는 할매할배의 날을 제정한 지 1년여 만의 일이다.

대구시와 경북도의 이번 국가기념일 지정 및 제정 추진은 나름 이유가 있다. 대구시는 1960년에 일어난 2·28민주운동은 독재정권에 항거한 대구지역의 학생운동으로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의 효시가 됐다는 점을 내세운다. 이와 함께 2·28민주운동이 곧바로 4·19민주혁명으로 이어져 민주화 정착에 기여한 역사적 의의가 있다는 명분이다.

경북도의 할매할배의 날 역시 경북의 경계를 넘어 전국적으로 확산될 좋은 계기를 맞았다. 특히 교육부가 최근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에 가정의 인성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본보기로 바로 할매할배의 날을 제시했다. 이미 이를 시행 중인 대구·경북교육청을 넘어 전국 교육청으로 퍼질 가능성이 더욱 커진 셈이다.

그러나 대구시가 국가기념일 제정을 추진하면서 경북의 협조를 뺀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또 경북도의 기념일 제정 추진도 물론 뜻있지만 기존 어버이날(5월 8일)과 노인의 날(10월 2일) 취지와 겹칠 수 있다. 두 날도 노인의 보호와 존경 등을 위함이다. 대구와 경북이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일을 추진하면서 가장 먼저 협력해야할 이웃을 외면하고 각자 행동하는 것은 생각해 볼 문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