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국회의원선거가 여소야대(與小野大)로 마무리됨에 따라 정치권의 대격변이 예상된다. 여야 모두 당내 권력지형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극심한 파열음을 낼 것으로 보인다. 당권 확보 여부가 차기 대권 구도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국 주도권을 쥐기 위한 각 당의 신경전도 치열해질 전망이다. 여당 단독으로 법안을 처리할 수 없게 된 데다 원내 제3당의 지위를 확보한 국민의당이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 파격적인 행보에 나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대통령선거가 치러지는 내년 12월까지 여야 모두 정계 개편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새누리당, 대권 구도 조기 가열
총선에서 패한 새누리당은 총선 책임론과 함께 당권 경쟁이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다가오는 전당대회에서 선출되는 지도부는 대통령선거에 나설 후보를 확정하기 위한 당내 경선을 관리하는 막중한 임무를 맡게 된다. 그동안 새누리당 내부에선 총선 후 친박계의 당권 접수가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졌었지만 총선 패배로 보다 복잡한 방정식이 적용되는 승부가 펼쳐질 전망이다. 이에 유력한 차기 당권 주자로 거명돼 온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의 정치 행보에도 변수가 생겼다. 아울러 현직 대통령이 레임덕에 빠지면서 당내 대권 경쟁이 조기에 가열될 것으로 보인다. 김무성 대표, 유승민 전 원내대표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는 이번 총선을 통해 정치적 재기를 노렸지만 낙선으로 뜻을 이루지 못했다. 대권을 노리는 각 주자들의 세몰이에도 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새누리당 과반 막았지만 호남 잃어 절반의 승리
더불어민주당은 새누리당의 과반 의석 확보는 저지했지만 호남을 잃었다. 그래서 절반의 승리다. 정통적인 지지 기반을 잃은 더불어민주당은 다가올 대선이 걱정이다. 친노 진영의 복귀 여부가 가장 큰 관심사다. 야권에서는 친노 진영의 당권 수복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친노 진영의 당권 장악 여부는 자연스럽게 문재인 전 대표의 입지와 직결된다. 문 전 대표는 이번 총선 선거운동 과정에서 '호남이 지지 거두면 정계 은퇴'대선 불출마'를 선언한 상황이라 궁색한 처지다. 이에 이번 총선을 통해 새롭게 당에 수혈된 대권 주자들이 주목을 받을 전망이다. 김부겸, 박영선, 송영길 당선자 등이 차기 주자로 거명되고 있다. 특히 김부겸 당선자의 경우 호남 기반인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세 확장 차원에서 적임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정치권에선 총선 후 치러질 더불어민주당의 전당대회에서 어느 진영이 당권을 장악하느냐가 향후 대권 구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민의당, 최상의 결과 받아든 안철수 대권 가도 탄력
이번 총선의 최대 수혜자는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다. 정치적 명운을 걸었던 원내교섭단체 구성(20석)을 넘어 30석 이상을 확보함으로써 명실 공히 제3당의 지위를 확보했다. 특히 국민의당은 여당이 원내 과반을 차지하지 못 한 상황이라 캐스팅보트를 행사하면서 정국의 중심에 설 수 있게 됐다. 다만, 국민의당 역시 당내 권력투쟁은 불가피하다. 안철수 공동대표와 비례대표 의원들을 주축으로 한 친안철수파와 호남 중진들의 연합체가 당권을 두고 정면 승부를 벌일 것으로 보인다. 결국 안 공동대표가 호남발 '국민의당' 바람을 총선 후 수도권까지 끌어올릴 수 있느냐가 승부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양 진영의 힘겨루기가 어떤 결과로 이어지든, 국민의당은 야권의 정계 개편 과정에서 중요한 변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밖에 정의당은 정당득표율에서 국민의당에 밀리며 진보정당의 명맥을 유지하는 데 만족해야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