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이란 국빈방문을 계기로 이란에서 최대 52조원 규모의 인프라 건설 및 에너지 재건 사업을 수주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
박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오전 사드아바드 좀후리궁에서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고 경제분야 59건을 포함해 모두 66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등 역대 최대의 경제외교 성과를 창출했다.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인프라 및 에너지 재건 등 30개 프로젝트에서 MOU 등을 통해 확보 및 수주 가능한 금액은 371억달러로, 일부 사업의 2단계 공사까지 감안하면 최대 456억달러까지 수주금액이 늘어날 것으로 청와대는 전망했다.
분야별로는 ▷철도'도로'수자원관리 등 인프라 건설 참여 121억2천만달러 ▷석유'가스'전력 등 에너지 재건 316억달러 ▷보건'의료 18억5천만달러 등이다.
주요 인프라 사업은 철도노반 건설 및 차량 공급을 담은 이스파한-아와즈 철도사업(53억달러), 테헤란과 카스피해를 연결하는 테헤란 쇼말 고속도로 사업(15억달러) 등이다.
대(對)이란 경제제재로 중단됐던 사우스파 LNG 플랜트 건설 사업(35억달러) 협상이 재개되는 한편 바흐만 정유시설 프로젝트(1'2단계 합산 100억달러), 이란-오만 해저 파이프라인 건설(15억달러), 콘크리트 아치댐 및 1천㎿ 수력발전 건설을 담은 박티아리 수력발전(19억달러) 등도 이번 MOU 대상에 포함됐다. 보건'의료 분야에서는 17억달러 규모의 6개 병원 건설 사업과 1억5천만달러 규모의 의료생산단지 구축사업이 추진된다.
정부는 우리 기업의 인프라 사업 수주를 지원하기 위해 250억달러의 금융지원프로그램을 가동할 계획이다. 전대금융 2억달러를 포함해 수출입은행이 150억달러를, 무역보험공사와 금융지원협의체가 각각 60억달러, 40억달러를 지원하게 된다.
양국은 1996년 이란이 최초 제안했으나 그동안 경제제재로 중단됐던 해운협정도 20년 만에 체결, 선박 운항 및 영업자유 보장 등을 통해 양국 교역을 촉진키로 했다.
또 양국 상공회의소 간 협력 MOU 개정, 코트라-이란 투자청 간 MOU 체결을 통해 기업 간 교류확대를 위한 사절단 파견 및 정보교환, 투자정보 공유 및 투자기회 공동 발굴 등을 추진키로 했다.
안종범 경제수석은 브리핑을 통해 "이번 성과를 계기로 제2 중동 붐의 한 축이라고 할 수 있는 이란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교역 촉진으로 경제제재 이전의 교역 수준을 회복할 수 있는 교두보가 마련됐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