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다리 움직이고 싶은 충동에 수면 장애

'하지불안증후군' 새 치료법… 장기간 재발 방지 가능해져

조용원 교수
조용원 교수

동산병원 조용원 교수 연구팀

고용량 철분 주사제 효과 확인

고용량의 철분 주사제를 이용해 하지불안증후군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치료법이 지역대학 연구진에 의해 발견됐다. 조용원 계명대 동산병원 신경과 교수 연구팀은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에게 철분 주사제인 페린젝트를 고용량 투여해 증상을 완화하고 장기간 재발을 막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조 교수는 지난 2년간 페린젝트 1천mg을 1회 주사한 32명과 위약을 투여한 32명의 대조군을 관찰했다. 그 결과, 페린젝트를 주사한 환자들은 6주 후 증상이 크게 개선됐고, 이 가운데 3분의 1은 주사를 맞은 후 30주까지 재발이나 심각한 부작용이 없었다.

이 논문은 지난 11~15일 열린 미국 수면학회에 발표됐으며 세계적인 수면학술지인 '슬립 메디슨'(Sleep medici ne)에 실릴 예정이다.

하지불안증후군은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과 불편감 때문에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는 감각운동계 질환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7.5%가 고통받고 있으며 삶의 질을 더 떨어뜨리고, 우울증까지 동반하는 게 특징이다. 주요 원인은 도파민의 이상 분비나 철분 부족 탓으로 알려져 있다.

조 교수는 "먹는 철분제는 흡수가 제한되고 뇌 속에서 이용률이 낮아 최근 들어 철분 주사제를 대체요법으로 쓰고 있지만 가장 흔히 쓰는 덱스트란은 여러 번 투여해야 하고, 부작용의 위험이 높다"면서 "이번 연구는 만성적으로 고생하는 하지불안증후군 환자가 매일 약을 먹는 불편을 없애고, 부작용을 줄이는 새로운 치료법"이라고 말했다.

한편 조 교수는 지난 2006년 하지불안증후군의 국내 유병률을 최초로 조사, 발표했으며 하지불안증후군 환자의 삶의 질 하락과 병리기전에 관한 수십여 편의 논문을 내놓은 바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