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공항 백지화해놓고…대구경북 사드 보낸다고?"

시민단체 반대 운동 본격화 "전자파 발생 피해, 전쟁 도발 땐 우선 공격 대상"

27일 대구 중구 동성로에서 대구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회원들이 사드 배치 반대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msnet.co.kr
27일 대구 중구 동성로에서 대구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회원들이 사드 배치 반대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msnet.co.kr

'신공항 백지화하는 대신 사드를 준다고?'

대구경북에 사드배치를 반대하는 캠페인이 본격화하고 있다.

'대구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이하 대구 평통사)은 27일 오전 대구백화점 앞 광장에서 "평화 파괴, 안보 위협, 환경 파괴 대구가 만만하냐. 사드 배치 반대한다"며 항의 집회에 나섰다.

최근 대구와 왜관을 오가며 사드 배치 반대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 평통사는 "약속을 어기고 신공항을 백지화한 정부 태도를 볼 때 사드가 대구경북에 배치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시민들이 심각성을 알고 대구시와 경북도도 대처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들은 "지난 3일 일본 방송사 TBS가 미군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정부는 수도권 방위가 편한 평택 등 수도권이 적절하다고 했지만 미국은 전략적으로 대구 배치를 원한다. 한미 양국이 이르면 2017년 대구에 포대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는 보도를 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구시나 경북도는 물론 일반 시도민도 사드 배치 문제점 및 부작용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 평통사의 설명이다. 이들은 사드 배치 결정이 날 때까지 대시민 사드 배치 반대 시위를 계속 이어나갈 계획이다.

평통사가 사드 배치 반대에 나서는 이유는 강력한 전자파 발생으로 주변 환경 피해가 발생할 뿐 아니라 전쟁이 발생하면 사드 배치 지역이 북한의 우선 공격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대구 평통사 관계자는 "정부와 국방부는 사드 대구경북 배치설에 대해 '사실무근이다. 어느 특정 지역이라고 단정할 단계는 아니다. 한미 실무단에서 협의 중에 있다'라고 부인하고 있지만 신공항 사태를 볼 때 정부를 신뢰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대구시도 국책사업에 대해서는 시민들의 의사를 반영해 정부에 대해 강력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찬수 대구 평통사 공동대표는 "정부의 정책안을 내놓았을 때 대구가 보수 도시라고 해서 정부의 결정에 일방적으로 따른다는 건 큰 착각이다. 언제까지 대구 시민이 정부의 일방적인 결정을 받아들여야 하나"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