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WP "비선 실세 스캔들, 박 대통령을 집어삼키고 있다"

외신들 최순실 집중 보도…"대통령 퇴진" "진상 규명" 대규모 반정부 집회에 주목

일본 언론은 30일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수석비서관에 대한 일괄사표를 받은 점과 검찰의 청와대 압수수색 시도, 대규모 촛불집회 등을 소상히 전하며
일본 언론은 30일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수석비서관에 대한 일괄사표를 받은 점과 검찰의 청와대 압수수색 시도, 대규모 촛불집회 등을 소상히 전하며 "박 대통령의 정권 운영이 최대 위기를 맞았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주요 외신들이 '비선 실세'로 지목된 최순실 씨 국정개입 의혹을 잇따라 소개하고 있다.

각국 언론은 박근혜 대통령 퇴진과 진상규명을 촉구하며 29일 열린 대규모 집회도 주목해 보도하면서 최대위기를 맞은 박 대통령의 레임덕이 자국과의 외교 관계에 미칠 영향도 분석하는 모습이다.

AP통신은 촛불을 든 시민들이 '누가 진짜 대통령이냐' '박근혜 퇴진'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집회에 참여했다며 "경찰 추산 1만2천 명이 모여 최근 몇 개월 사이 서울에서 열린 반정부 집회 가운데 가장 큰 규모"라고 전했다. AP통신은 또 "내년 대선을 앞두고 박근혜 대통령의 레임덕이 가속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AFP통신은 박 대통령을 둘러싼 압박과 분노가 커진다며 "교복 입은 10대와 대학생, 어린아이를 데려온 중년 부부 등 다양한 시민이 집회를 함께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통신도 "박 대통령이 국민의 신뢰를 배신했고 국정 운영을 잘못했다고 화난 시민들이 말했다"며 나라를 이끌 권한을 잃었다는 의견도 있다고 전했다. 영국 BBC방송도 집회 현장 사진과 내용을 상세히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도 고(故) 최태민 씨가 '한국의 라스푸틴'으로 불린다는 과거 주한 미국대사관의 본국 보고 사실을 거론하며 "비선 실세 루머와 족벌주의, 부정 이득 등이 포함된 드라마틱한 전개의 스캔들이 박 대통령을 집어삼키고 있다"고 썼다.

일본 언론도 1면과 국제면에 주요기사로 이번 사태를 보도하고 있다.

NHK는 30일 "검찰이 청와대 고위 간부에 대한 강제수사에 나서는 사태가 될 수 있다"며 "29일 밤 서울 도심 집회에는 주최 측 발표로 2만 명이 참가했다"며 집회 영상을 상세히 전했다.

교도통신도 주최 측 발표 2만 명 이상의 항의 집회가 있었다며 "청와대도 수사 대상이 되는 이례적 사태로, 박근혜 정권은 중대 위기를 맞았다"고 지적했다.

지지통신은 "박 대통령이 구심력을 잃고 있어 대일관계에서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기가 어려워질 것"이라며 "개선 기미가 보이던 한일관계가 답보상태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전망도 있다"고 지적했다.

요미우리신문도 1면과 국제면을 할애해 최순실 게이트 기사를 실었고, 아사히신문은 "전국 각지에서 박 대통령의 사임을 요구하는 집회가 열리는 등 취임 후 최대 위기를 맞았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야당뿐 아니라 여당에서도 철저한 진상규명 목소리가 나온다"고 전했다. 마이니치신문은 "박 정권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으면 한일 간 위안부 합의 이행,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에 대한 협력도 진전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양국이 연내 체결을 목표로 하는 군사정보보호협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신화통신, 환구망, 인민망 등 중국 언론들도 박 대통령 퇴진과 진상규명 요구 집회, 검찰의 청와대 비서진 자택에 대한 압수수색, 각 대학의 시국 선언 등을 30일 보도했다.

앞서 환구시보(環球時報)는 29일 8면 전체에 '한국이 전역에서 박근혜의 하야를 요구하는 시위를 준비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