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의 광역 도의원과 기초 시의원이 행사 의전을 둘러싼 갈등으로 불협화음이다. 이런 갈등은 주로 같은 행사에 참석한 도의원과 기초의원 간 소개와 축사 순서를 두고 빚어진다. 불만을 가진 의원들은 행사에 불참하거나 참석해도 도중에 빠져나가기 일쑤다. 행사 취지는 뒷전이고 대접부터 받겠다는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지방의원의 왜곡된 자화상으로 비쳐 씁쓸하고 실망스럽다.
최근 구미 금오산호텔에서 경북도 주관으로 개최된 '경상북도 척수장애인 재활증진대회'의 사례가 그랬다. 행사 참석 내빈을 소개하면서 구미 출신 도의원을 경북도 시'군의회 의장협의회장을 겸한 구미시의회 의장보다 먼저 소개한 데 이어 축사도 앞세웠다. 이에 참석한 시의장과 시의원이 모두 퇴장했다. 역시 이달 구미에서 경북도 주관으로 열린 농민의 날 행사 때는 시의장 축사가 빠진 탓에 시의장과 시의원 대부분이 아예 행사장을 찾지 않았다.
이런 일이 빚어지는 것은 허례허식의 잔재 탓이 크다. 또한 이는 옛날 '사농공상' 구분처럼 신분 차별이나 서열을 굳이 따져 자신을 내세워 보려 했던 낡은 의식이 우리 사회에 여전히 남아 있음을 말해주는 좋은 증거다. 행사 취지와 내용은 제쳐놓고 형식부터 고집하고 앞세우는 그런 구태다. 주민을 대표해 선출된 지방의원들이 지양해야 할, 해서는 안 될 추태일 따름이다. 20년 넘는 지방의회 역사가 부끄러운 지방의회의 모습이다.
물론 경북도의 행사 진행 미숙함도 있다. 일반 도의원보다 행사가 치러지는 곳의 지역 주민이 뽑은 지방의회 대표인 의장을 예우함은 지역 주민 전체를 예우함과도 같다. 게다가 경북 23개 전체 시'군의회 의장 모임의 대표이면 더욱 마땅하다. 이번 경북도의 매끄럽지 못한 행사 진행에 아쉬움이 남는 까닭이다. 물론 이를 빌미로 행사 뜻을 퇴색시킨 지방의원들 뒤태도 곱지만은 않다.
지역마다 수많은 행사는 어쩔 수 없다. 게다가 지방의원 간 소모적인 의전 갈등도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이제 주민대표로서 불미스러운 구태를 벗고 성숙할 때다. 의전을 없애거나 지자체와 지방의회 간 기준 마련도 대안이 될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