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궁지 몰린 박 대통령 '신의 한 수' 찾을까

6차례 전국 촛불 민심 확인, 9일 탄핵 표결 초읽기 돌입

'최순실 씨 국정 농단' 사태로 탄핵이 초읽기에 내몰린 박근혜 대통령이 막판 돌파구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탄핵과 대통령의 퇴진 시점 표명을 연계하려던 새누리당 비박(비박근혜)계가 4일'무조건적인 탄핵 표결 참여'를 선언하면서 박 대통령은 궁지로 몰렸다.

3일 전국적으로 불타 오른 촛불집회를 비롯한 6차례의 촛불 민심과 야권은 박 대통령의 즉각적인 퇴진을 요구했고, 박 대통령의 자진 사퇴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9일 탄핵소추안 국회 표결을 예고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박 대통령의 '내년 4월 퇴진과 6월 대선'을 당론으로 정하고 박 대통령의 입장 표명을 요구했으나, 3일 촛불 민심에 놀란 비박계가 대통령의 입장 표명과 상관없이 9일 탄핵 표결에 참여하기로 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박 대통령은 '여야가 진퇴 시점과 방식 등에 합의해 달라'는 기존 입장만 확인한 채 참모들과 함께 정치권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당초 여당 비주류가 표결에 참여하지 않을 경우 탄핵을 피해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비주류 등이 대통령 면담을 요청하면 이를 받아들여 새누리당이 요청한 퇴진 시기를 공식화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내년 4월 퇴진, 6월 대선 입장을 밝히면 자연스럽게 탄핵을 피해갈 수 있고 임기 단축을 위한 개헌 논의까지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해 비주류를 포함한 새누리당 의원들의 그룹별 면담까지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탄핵 가결의 핵심 키를 쥔 비박계가 4일 '무조건적인 9일 표결 참여' 방침을 밝히면서 비박계와의 비공개 면담은 사실상 물 건너갔고, 탄핵 회피를 위한 박 대통령의 선택카드는 마땅치 않게 됐다.

박 대통령으로서는 이제 9일 이전에 4차 대국민담화 또는 기자회견을 통해 정치권 합의에 맡긴 퇴진 일정과 방식을 직접 구체적으로 밝히면서 국면 전환을 꾀하지 않는 이상 9일 탄핵 결과를 그대로 지켜보는 수밖에 없게 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