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美 '대선 해킹' 보복, 러 외교관 35명 추방

미국 정부가 29일(현지시간)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 해킹' 의혹에 대한 고강도 보복 조치를 단행했다. 이에 따라 우크라이나와 시리아 사태 등으로 줄곧 마찰을 빚어온 미'러 양국 간 갈등의 골은 더욱 깊게 팰 전망이다.

백악관과 미 재무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외교관 무더기 추방, 미국 내 러시아 공관 시설 폐쇄, 해킹 관련 기관과 개인에 대한 경제 제재를 골자로 한 대(對)러시아 제재안을 공식 발표했다. 주요 내용을 보면 먼저 미 국무부는 이날 워싱턴 D.C의 주미 러시아대사관과 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에 근무하는 외교관 35명을 추방 조치했다. 국무부는 이들에게 가족과 함께 72시간 안에 미국을 떠날 것을 명령했다.

또 뉴욕과 메릴랜드주에 각각 소재한 러시아 정부 소유 시설 2곳을 폐쇄 조치했다. 이들 2개 시설에는 30일 오후를 기해 모든 러시아 관계자들의 접근이 차단됐다.

국무부와 별개로 재무부는 해킹단체 '팬시 베어' 등의 배후로 의심되는 러시아군 총정보국(GRU), 러시아연방보안국(FSB) 등 러시아 정보기관 2곳이 미 대선에 개입할 목적으로 정보 해킹을 주도했다고 지목하면서 이들 기관과 더불어 해킹 지원활동에 연루된 특별기술국(STG), 데이터프로세싱디자이너교수연합(PADDPS), 조르시큐리티(Zorsecurity) 등 5개 기관과 이고르 발렌티노비치 국장을 포함한 GRU 최고위 인사 3명을 비롯해 개인 6명에 대해서도 경제 제재를 가했다.

퇴임을 앞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이처럼 러시아 정보기관에 초점을 맞춘 초고강도 제재를 가한 것은 대선 개입이 미국 민주주의 근간을 송두리째 흔드는 심각한 문제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오바마 행정부는 지난 7월 민주당 전국위원회(DNC) 주요 인사들의 이메일이 위키리크스에 폭로된 이후, 해킹의 배후로 러시아를 의심해 왔다. 러시아 정부는 미국의 이번 조치에 대해 역효과를 초래하고 양국의 관계 복원에 해를 끼칠 것이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