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출범한 문재인정부가 안보 문제와 관련해 중요한 시험대에 직면했다.
북한이 14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사실상 성공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북한의 핵개발도 막아야 하지만 미국이 북한의 미 본토 핵 공격이 가능한 수준의 핵'미사일 개발만 막자는 계산하에 완전한 비핵화를 사실상 포기, 핵 동결을 현실적 목표로 설정하는 경우 등 2가지 상황을 동시에 막아야 하는 것이다. 또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문재인정부가 남북대화 복원 행보에 나서면 제재 강화를 주장하는 미'일 등 국제사회의 견제를 받게 될 것이라는 점에서 문재인정부의 대북정책이 정권 출범 초기부터 어려운 환경을 맞게 됐다.
15일 북한 관영 매체들은 북한이 전날 시험 발사한 탄도 미사일을 '대형 핵탄두 장착이 가능한 신형 중장거리전략탄도미사일(IRBM) 화성-12'라고 설명하면서 이번 시험 발사가 '대성공'을 거뒀다고 주장했다. 전날 일본 정부의 분석과 이날 북한 매체 보도를 종합하면 미사일은 최대정점 고도 2천111.5㎞까지 상승해 거리 787㎞까지 날아간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 전문가들도 과거와 비교해 상당히 발전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북한이 이제는 미사일로 미국 본토까지 타격할 수 있다는 점을 과시했다는 목소리까지 나오는 중이다.
따라서 북한 핵을 어느 정도 수준에서 봉쇄할지도 새 정부의 숙제가 되고 있다.
미국이 북한 핵 동결로 이 상황을 마무리 지을 시도를 할 가능성이 작지 않은 만큼 이를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한반도에서의 완전한 비핵화만이 한반도 평화의 기초라고 많은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 외교'안보 자문단의 정의용 전 주제네바 대사는 16일 청와대에서 매튜 포틴저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 일행과 만난다고 외교부 당국자가 15일 밝혔다. 새 정부 외교'안보 태스크포스(TF) 단장인 정 전 대사는 포틴저 선임보좌관, 앨리슨 후커 NSC 한반도 보좌관 등과 만나 전날 북한의 중장거리 탄도 미사일 발사에 대한 대응, 한미 정상회담 개최 일정 등을 조율한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전한길, 김건희 만나나…"방문 요청 받아, 죽을 만큼 범죄 심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