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의성 김씨 청계종택은 18일 300여 년 동안 자정에 지냈던 제사를 오후 8시로 20시간 늦춰서 지냈다. 초저녁 제사로 바꾸자 이날 제례에 참여한 제관은 60여 명으로 지난해에 비해 2배가량 늘었다.
이에 앞서 지난 2014년에는 퇴계 이황 선생의 종가가 수백 년 동안 자정을 넘겨 지내던 불천위를 초저녁으로 바꾼 바 있다.
경북 지역에서 수백 년 동안 자정을 넘겨 지내던 '불천위(不遷位) 제사'가 초저녁 제사로 바뀌는 등 종가문화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불천위 제사는 고조(高祖)까지 4대를 모시는 유교식 제사 예법과는 관계없이 많은 공을 세웠거나 학문과 덕이 높은 이들에게 영구히 제사를 모실 수 있도록 허락된 조선시대의 특별한 제도이다. 살아서도 모든 사람의 표상이 됐던 불천위 인물은 사후에도 국가나 유림, 후손들로부터 제사 등을 통해 대대손손 추앙을 받고 있다.
하지만 농경사회였던 과거와는 다르게 타 지역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현대의 후손들에게 자정부터 두 시간여 동안 진행되는 제례는 부담이 됐다.
특히 전국 170여 개의 불천위 종가 중 110여 개가 경북 지역에 집중돼 있다. 이 때문에 일자리를 찾아 서울과 대구 등 도심으로 떠난 후손(제관)들이 평일 열리는 불천위 제사를 위해 최소 왕복 2시간이나 소요되는 경북을 방문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실제로 한국국학진흥원이 지난해 비공개로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경북 지역의 불천위 종가 중 절반 정도는 이미 현실에 맞게 제례 방식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조상보다 음식을 미리 먹는 불효만큼은 피하기 위해 아침, 점심을 거른 채 제사를 지내는 등 조상에 대한 예는 잊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제사 시간의 변화는 후손들의 참여를 늘리는 효과를 불러왔다.
김창균(65) 의성 김씨 청계종택 종손은 "서울과 대구 등 직장에 다니는 후손과 나이가 많은 제관들의 건강을 생각해 시간을 조정하게 됐다"면서 "한 명이라도 더 많은 후손이 제례에 참석해 선조의 학문과 정신을 되새긴다는 것이 불천위 제사를 지내는 참뜻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