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여야 협력 중요성 재확인한 청와대 회동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가 19일 청와대에서 첫 공식 오찬 모임을 가졌다. 대통령 취임 후 열흘 만에 마련한 이 오찬 회동은 형식상 새 정부 출범 때마다 의례적으로 갖는 자리다. 하지만 이날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의 국정 현안에 관한 의견들을 모아보면 이전 상견례 자리와는 분위기가 크게 달랐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많다.

새 정부가 막 출범한 지금은 정부 구조 개편에서부터 내각 인선, 정책 재점검 등 여야 모두 많은 과제를 안고 있는 시점이다. 향후 5년의 국정 상황을 가늠해볼 만큼 중요한 시기이자 고비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안보와 경제, 국정 개혁 등 풀어야 할 현안이 산적해 있어서다. 또 탄핵 정국과 선거 후유증을 빨리 털어내고 국정을 정상 궤도에 올려놓기까지 정부와 정치권이 협조해야 할 일이 매우 많다.

이를 감안할 때 이날 문 대통령의 '여야정 협의체 정례화' 제안은 주목받기에 충분하다. 여야의 긴밀한 협력 관계가 앞으로 원만한 국정 운영의 최대 변수라는 점에서 반드시 이뤄내야 할 일이기 때문이다. 야권도 일단 대통령의 제안에 환영의 뜻을 표시했다. 문 대통령은 야당과 안보 정보도 공유하고, 정례 보고하는 자리도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냥 해보는 소리가 아니라 국정 파트너십을 중시하는 대통령의 철학과 시각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진정성이 엿보인다.

국민은 정당의 틀에 갇혀 상대의 등만 바라보는 정치를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 이는 정파의 이해에 쫓겨 정치적 대립과 반목을 키우는 최대 원인이기 때문이다. 격식에 얽매이지 않고 여야가 만나 대화하고 소통해야 오해도 풀리고 어려운 일도 해결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문 대통령의 협의체 제안은 시의적절하다.

현재 우리 정치는 개헌과 적폐 청산, 이낙연 총리 후보 등 내각 인사청문회, 검찰'국정원 개혁, 일자리 추경 편성안 등 여야 협조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새 정부가 바짝 고삐를 죄는 '적폐 청산' 문제만 봐도 야당이 벌써부터 반발하고 있다. 만약 무리하게 밀어붙일 경우 국정 혼란이 커질 수 있다. 적폐 청산의 목적과 대상 등을 명확히 하고 차근차근 추진해나가야 하는 이유다.

문재인정부의 지난 열흘을 돌이켜보면 개혁의 자세와 접근법, 속도감 등에서 여론이 나쁘지 않다. 이제부터 빠른 국정 안정은 정부의 열린 자세와 야당의 협력 여부에 달렸다. 진정한 국민통합과 국정 안정에 야당도 결코 예외일 수는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