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문제 등으로 한'중 갈등이 지속하면서 중국에서 한국계 자동차의 판매가 급감하며 벼랑 끝에 몰렸지만 일본계 차량은 반사 이익을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중국승용차협회와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해 1~5월 중국 내 자동차 판매량은 중국 합자법인인 베이징 현대와 둥펑위에다 기아가 37만7천여 대로 전년 동기 대비 43% 줄었다.
지난 6월의 경우도 베이징 현대와 둥펑위에다 기아의 판매량은 5만2천 대 수준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5%나 급감했다.
베이징 현대는 지난해까지 4년 연속 100만 대 이상을 중국에서 팔았는데 1~5월 판매량은 연간 목표치의 20% 정도에 불과해 올해 판매 목표인 125만 대 달성은 불가능한 상황이다.
둥펑위에다 기아는 더욱 심각한 상황으로 올해 1~5월간 판매량은 올해 목표인 70만 대의 16% 수준밖에 안 된다.
반면 합자법인인 GAC 미쓰비시는 올해 상반기 5만4천 대를 팔아 올해 판매 목표치를 54%를 채웠으며 FAW 도요타는 34만5천 대를 판매해 올해 목표량의 51.5%를 달성했다.
시장조사업체 LMC오토모티브 상하이(上海) 지사의 쩡즈링(曾志凌) 애널리스트는 한국 자동차 산업의 혁신 부족이 중국 시장에서 실패한 요인 중 하나로 꼽으면서 "사드 때문에 중국에서 한국계 브랜드의 판매가 방해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