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본인 관광객 감소…국내 관광업 침체 우려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영향…中 관광객 감소에 '설상가상'

북한의 제6차 핵실험 및 장거리 발사체 발사실험 등 여파로 인해 한국을 찾는 일본인 관광객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6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한반도 위기설이 나왔던 지난 4월 한국을 찾은 일본인은 16만5천748명으로 집계됐다. 작년 같은 달 17만5천283명보다 5.4% 줄어든 것이다.

일본인 관광객은 올해 1~3월 동안 지난해 같은 달 대비 증가세를 이어가다 4월 들어 감소세로 돌아섰다.

당시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호가 한반도 인근 해역에 재출동했고, 북한이 태양절인 4월 15일 추가 도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소셜미디어 등에서는 '4월 한반도 위기설'이 제기된 바 있다.

방한 일본인은 이후 5월에도 -10.8%, 6월 -6.9%, 7월 -8.4% 등 하락세를 보였다.

일본인 방한 관광객은 한반도 정세가 불안할 때마다 대체로 감소했다. 북한이 작년 9월 9일 핵실험 도발을 시도하자 같은 달 방한 일본인은 20만8천759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32.7% 증가했지만, 전월의 22만5천456명에 비해서는 7.4% 감소했다.

관광공사는 작년 9월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2015년 국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에서 회복한 데 따른 기저효과여서 큰 의미가 없다고 설명했다.

또 2006년 10월 제1차 북한 핵실험과 2009년 5월 25일 제2차 핵실험 도발, 2013년 2월 12일 북한 제3차 핵실험, 2016년 1월 6일 4차 북한의 핵실험이 있은 직후에도 일본인 관광객이 매번 전년 대비 감소했다.

특히 2010년 10월 23일 연평도 포격사건으로 한반도 리스크 요인이 부각됐을 때는 한국을 방문한 일본인 수가 같은 해 12월 이후 6개월간 감소세를 지속했다.

중국인 관광객이 감소한 상황에 일본인 관광객마저 이탈하면 국내 관광업계가 L자형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L자형 침체는 경기 그래프가 알파벳 'L'자처럼 급격히 하락한 채로 불황을 지속하는 것을 말한다.

올해 들어 7월까지 한국을 방문한 중국인 관광객은 한반도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 정부의 경제보복으로 인해 작년 동기(1∼7월)보다 46.5% 감소한 253만 명에 머물렀으나 방한 외국인 관광객 중에서는 여전히 가장 많은 수를 보였다.

같은 기간 누적 일본인 관광객은 128만 명으로 중국인 관광객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규모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