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여름도 아닌데…'낙동강 녹조' 10월에도 극성

가뭄에 강수량 유입 줄어, 달성보·강정고령보 남조류 일주일 사이 2배 이상 늘어

대구경북 낙동강에 가을 녹조가 극성이다. 여름이 지난 10월에도 남조류 세포 수가 높은 수치를 유지했다. 환경 당국은 가뭄을 원인으로 보고 있다.

대구지방환경청에 따르면 10월 마지막 주 측정에서 달성보의 남조류 세포수가 6천571cells/㎖로 전주 3천756cells/㎖보다 175% 증가했다. 강정고령보도 같은 기간 110%(2천957→3천257cells/㎖) 늘었다. 이는 조류경보제 관심단계(1천cells/㎖)보다 높고 수질예보제 발령단계(1만cells/㎖)보다 낮은 수준이다. 두 곳의 남조류는 지난달 첫 주에 1만6천276cells/㎖와 9천572cells/㎖까지 치솟고 나서 점차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올해 10월 녹조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심한 수준이다. 특히 하류로 내려올수록 더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달성보의 10월 평균 남조류는 7천473cells/㎖로 지난해 243cells/㎖보다 31배 많다. 이 기간 강정고령보도 14배(333→4천581cells/㎖) 증가했다. 칠곡보(219→1천213cells/㎖)와 구미보(268→675cells/㎖), 낙단보(172→438cells/㎖), 상주보(101→300cells/㎖) 등 상류로 갈수록 지난해와 올해의 격차가 적었다.

대구환경청은 가을 녹조 원인으로 가뭄을 지목했다. 강수량이 평년의 67%에 그치고, 일조시간이 늘어나면서 남조류 증식에 유리한 조건이 형성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올 9월 대구에는 평년의 145.2㎜보다 적은 97.5㎜의 비가 내렸고, 일조시간도 평년의 161시간보다 많은 216시간이 기록됐다. 대구지방환경청 수질관리과 관계자는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여름과 달리 가을에는 녹조가 햇빛과 수온, 강수 등 기후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며 "주로 발생하는 유해 세포도 여름과 다른 독성을 지녀 가을철 남조류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