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발을 정리하다 하얀 운동화가 어느새 더러워진 것을 보니 왠지 모르게 뿌듯함이 느껴졌다. 오래 신지는 않았지만 한 학기 동안 함께하며 참 많은 길을 걸었고 많은 일을 겪었다는 생각이다. 문득 2018년이 된 달력을 보니 어른들이 많이 하시는 말씀인 "시간 참 빠르다"는 표현이 생각났다. 동시에 불안감과 초조함도 밀려왔다. 하고 있는 일이나 목표는 잘 진행되고 있는지, 되돌아 봐야 할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꼈다.
그런 마음가짐으로 처음 기고한 글을 찾아 읽었다. 제목을 보니 민망함이 몰려왔다. '부족한 선배가 후배에게'라니. 물론 여전히 부족하다. 글을 읽으면서 처음 후배를 맞이하는 설렘이 참 컸다. 무엇보다 '나'라는 존재를 잊어서는 안 된다는 문장을 봤을 때 뜨끔했다. 슬럼프가 오면 더욱 냉철하게 자신을 바라보라. 어쩌면 후배가 아닌 나 자신에게 했던 말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스스로를 냉철하게 보는 건 어려웠다. 대신 초조함이나 신념이 흔들릴 때가 오면 단 10분이라도 스스로를 다독이는 시간을 가졌다. 누군가는 너무 짧은 시간이 아니냐고 말할 수 있겠지만 결코 짧게 느껴지지 않았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자기만의 시간을 짧게라도 가져볼 수 있는 시간이 있을까. 그 순간만큼은 정말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했으면 좋겠다.
개인적으로 가장 도움이 되었던 것은 글쓰기와 독서였다. 진짜 재미없을 것 같아도, 거짓말 같아 보여도 짧게나마 몇 줄 정도 읽으면 마음이 평온했다. 요새 e-book에 빠져서 시간이 날 때마다 열어서 읽는다. 평소 관심 있었던 분야에 대해 알게 되니 읽는 재미도 쏠쏠했다. 글쓰기는 평소에 관심 없었던 주변이나, 관심이 있어도 깊게 생각해본 적 없었던 사회적 의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직접적이나 간접적으로 겪은 경험도 그냥 넘어가기보다는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 더 열심히 공부해야겠다고 나름대로 다짐도 했다. 그러나 여전히 글 쓰는 것은 어렵다. 특히 어떤 소재로 쓸 건지 항상 고민이 많았다. 나를 위한 것이 아닌 독자를 위해서 쓰고 싶다는 욕심에 어려운 주제를 선택했지만 한계를 느끼고 여러 번 지워버렸다. 다른 대학생 기고자들도 비슷한 고민을 했으리라 생각한다. 수고했다는 말을 전해주고 싶다.
오늘도 더러워진 운동화를 내려다보며 지난 한 해 동안 있었던 일들을 생각해본다. 이제 앞으로 어떤 일이 생길지 그럴 때마다 어떻게 잘 헤쳐나갈지 많은 생각이 스쳐지나간다. 내일은 오늘보다 더 나은 하루를 보냈으면 좋겠다고. 지금 열심히 걷고 있는 나의 운동화에게 말해본다.






























댓글 많은 뉴스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법무부 내부서도 "대장동 항소 필요" 의견…장·차관이 '반대'
한강서 '군복 차림' 행진한 중국인 단체…"제식훈련도 아니고"
송언석 "李정권, 김현지 감추려 꼼수·반칙…與는 '배치기' 육탄 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