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부터 대구시와 경북도의 도시재생뉴딜 시범사업지 9곳에서 본격적인 사업이 시작된다.
국토교통부는 작년 12월 선정한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지 68곳 중 51곳의 지자체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이 완료됨에 따라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 지원을 최종 확정했다고 2일 밝혔다.
대구 3곳, 경북 6곳 등 9곳을 포함한 51곳은 올 상반기에 재생 활성화 계획을 수립해 실현 가능성 및 타당성 평가를 통과한 지역이다.
통과한 지역에는 2022년까지 국비 1조2천584억원, 지방비 1조8천595억원, 공기업 및 민간투자 1조2천981억원 등 4조4천160억원 규모의 사업이 추진된다.
대구시와 경북도 9곳의 재생계획은 쇠퇴한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중심시가지 및 근린재생사업이 5곳, 노후 주거지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주거지재생 및 우리동네 살리기 유형이 4곳이다.
대구에서는 ▷동구 '소소한 이야기 소목골'(효목2동, 일반근린형) ▷서구 '원하는 대로 동네 만들기'(원대동, 우리동네살리기) ▷북구 '자연을 담고 마음을 나누는 침산에 반하다'(침산1동, 주거지지원형) 3곳이 선정됐다.
경북은 ▷포항 중앙동 ▷영천 완산동 ▷상주 동성동 ▷영양 영양읍 ▷경산 사정동 ▷영주 휴천동 등 6곳이다.
대구 동구 효목2동은 거리를 특성화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장 내 유휴공간을 청년창업공간으로 활용한다.
서구 원대동은 청년과 신혼부부 유입을 확대하고 지역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해 마을브랜드를 형성하는 등 거주환경을 개선한다.
북구 침산1동은 자연과 어우러진 주거환경 개선 등을 목표로 행복마을, 안심마을, 공동체마을로 조성한다.
경북 포항에는 폐교 부지를 활용해 문화예술 공방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51곳의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수 있도록 올 하반기에는 2천700억원의 예산을 신속하게 지원할 계획"이라며 "하반기부터는 보상과 착공 등을 통해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