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례없는 폭염의 여파로 농산물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수산물 가격까지 뛰어오르며 밥상 물가를 위협하고 있다.
12일 수협노량진수산에 따르면 8월 첫째 주(7월 30일~8월 4일) 노량진수산시장에 입하된 국산 주요 수산물의 가격이 10~60%까지 일제히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평균 경락가는 민어(자연산 1㎏)이 4만7천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 상승했으며, 참돔(자연산 1㎏)은 2만3천200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0% 올랐다. 고등어는 전년동기대비 40%올랐으며, 오징어와 갈치, 자연산 광어 역시 지난해에 비해 30%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 수입산이 포함된 연어와 킹크랩, 지난 1년간 값이 폭락한 전복, 일부 조개류를 제외하면 사실상 주요 어류 전 품목의 가격이 급등한 것이다.
이는 최근 계속된 폭염으로 수온이 오르면서 출하량이 줄어든 결과로 분석된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광어 출하량은 2천71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6%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급 관리가 불안정한 수산물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최근의 가격 상승은 폭염과 고수온 현상의 여파가 적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당분간 이 같은 현상이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농산물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에 따르면 수박은 지난달 대비 65.7% 가격이 상승하며 1만3천746원(10㎏)에 거래되고 있으며, 복숭아는 1만9천285원(4.5㎏)으로 지난달보다 21% 올랐다. 채소 역시 폭염으로 인한 무름병과, 가뭄의 영향으로 출하량이 감소하면서 가격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배추는 지난달 대비 118%, 무 72.9%, 양배추 233.1%가 올랐다.
대구시 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는 폭염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추석 명절까지 '농수산물 수급안정 특별 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사과, 배, 수박, 무, 배추 등 중점품목 10개의 가격과 수급을 집중관리한다. 또 물량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도매 법인 산지 수집활동과 출하처 관리 등을 독려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문형배 "선출권력 우위? 헌법 읽어보라…사법부 권한 존중해야"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이준석 "강유정 대변인, 진실 지우려 기록 조작…해임해야"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