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BMW "설계 결함 아니다…늑장리콜도 없어"

"냉각수 누수가 원인인 점 재확인…조사 협조해 의혹 해소할 것"

BMW가 엔진결함으로 인한 차량의 화재 위험을 미리 알고도 이를 은폐·축소하고
BMW가 엔진결함으로 인한 차량의 화재 위험을 미리 알고도 이를 은폐·축소하고 '늑장 리콜'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국토부와 BMW 화재 관련 민관합동조사단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최종 조사결과 브리핑에서 화재 원인이 '엔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쿨러 균열로 인한 냉각수 누수 때문이라고 발표했다. 또한 BMW가 이미 2015년 10월 독일 본사에 EGR 쿨러 균열 문제 해결을 위한 TF를 구성해 설계변경 등 화재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에 착수하는 등 차량결함을 은폐·축소하고 늑장리콜을 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다수 확보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BMW에 대해 형사고발, 과징금 112억원 부과, 추가리콜 등 조치에 나설 방침이다. 사진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의 한 BMW 서비스 센터의 모습. 연합뉴스

BMW는 24일 엔진 부품 설계 자체가 잘못돼 차량 화재가 발생했다는 민관합동조사단의 발표와 관련해 "설계 결함은 아니다"라며 정면으로 반박했다.

'늑장 리콜' 의혹에 대해서도 "화재 원인을 확인한 시점에 바로 리콜을 개시했다"고 부인했다.

BMW 코리아는 이날 차량 화재를 유발한 냉각수 누수의 근본적 원인으로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의 설계 결함을 지목한 조사단 발표에 대해 "냉각수 누수는 쿨러의 크랙(균열)으로 인한 것이지 설계 결함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EGR 쿨러의 작동 조건은 차량이 운영되는 모든 상황에 충분히 부합되도록 설정돼 있다"고 설명했다.

조사단은 BMW 차량의 EGR이 열용량이 부족하게 설계됐거나 과도하게 사용되도록 잘못 설계된 탓에 EGR 쿨러에 열충격에 따른 균열이 생겨 냉각수 누수가 발생했고, 이것이 화재로 이어졌다고 발표한 바 있다.

BMW는 "국토교통부 조사 결과 극히 드물게 발생하는 본건 차량 화재의 근본 원인은 EGR 쿨러의 누수라는 점이 다시 확인됐다"며 "이는 BMW그룹의 기술적 조사 결과와도 대체로 일치한다"고 말했다.

이어 "EGR 쿨러의 누수 없이 기타 정황 현상만으로는 차량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서 "이는 하드웨어 문제로, 결함이 있는 EGR 쿨러 교체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BMW는 또 "흡기다기관 자체에는 설계 결함이 없고 오로지 EGR 쿨러의 누수가 있는 경우에만 손상될 수 있다"며 "이는 EGR 쿨러 누수가 있는 경우에 흡기다기관 교체가 이뤄져야 한다는 국토부 의견과 같고, 이미 고객 서비스 차원에서 EGR 쿨러 누수가 확인된 차량에 대해 흡기다기관 교체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BMW는 "화재의 근본 원인이 확인된 시점에 지체 없이 리콜 조치를 개시했다"며 결함 은폐 및 늑장 리콜 의혹 역시 부인했다.

이에 따른 과징금 부과 결정에 행정소송을 진행할지에 대해선 "아직 조사 중인 사안이므로 확정적인 것은 없고 대응책을 찾고 있다"고 전했다.

BMW는 "이번 건으로 인해 고객들이 겪었을 불안감과 불편에 대해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과한다"면서 "최대한 이른 시일 내 한국에서 리콜 조치를 완료하고 현재 진행 중인 조사에 협조해 관련 의혹을 해소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