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생활폐기물 에너지화시설 공정률 5% 남기고 '민-관 갈등' 심화

주민들 "제대로 협의된 사항 하나도 없이 절대 준공 못 한다" 강경 대응 예고

포항시 생활폐기물 에너지화시설 전경. 포항시 제공.
포항시 생활폐기물 에너지화시설 전경. 포항시 제공.

우여곡절 끝에 공정률 95%까지 진행된 포항시 생활폐기물 에너지화 시설이 준공을 코앞에 두고 다시 난관에 부딪혔다. 시설 인근 주민들이 "요구안에 대한 협상을 제대로 진행하지 않고는 준공할 수 없다"며 대응에 나섰기 때문이다.

시는 오는 18일 포항 남구 호동 쓰레기매립장 부지 내 생활폐기물 에너지화시설(RDF) 준공일을 앞두고 지난 4일부터 12일까지 시설 인근 지역인 제철·청림동, 오천읍 등 주민을 대상으로 현장 설명회를 계획했다.

이에 4일 시와 오천읍 주민 등 50여 명이 시설을 둘러보러 현장을 방문했지만, 제철동 주민 100여 명이 차량과 현수막 등으로 입구를 가로막아 설명회가 무산됐다.

당시 제철동 한 주민은 "이 시설로 가장 피해를 보는 제철동 주민과의 협상이 끝나지도 않았는데 다른 지역민을 데리고 현장 설명회를 한다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행정"이라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대기 환경 오염 피해 등을 주장하며 보상금 등 17가지 안을 시에 요구하고 있다.

포항 남구 제철동 주민 100여 명이 지난 4일 남구 호동 쓰레기 매립장 입구를 막고
포항 남구 제철동 주민 100여 명이 지난 4일 남구 호동 쓰레기 매립장 입구를 막고 '포항시 생활폐기물 에너지화시설(RDF)' 건립 반대를 주장하고 있다. 독자 제공

시는 주민 반대가 거세지자 현장 설명회 일정을 잠정 취소하고 여론을 지켜보는 중이다.

시 관계자는 "포항지역 쓰레기 매립지는 이미 포화상태여서 생활폐기물 에너지화 시설을 건립해 쓰레기를 태우는 것 말고는 다른 대안이 없다"며 "이 시설은 질소산화물과 다이옥신 등을 법적 기준보다 현저히 낮게 배출하고, 24시간 환경오염도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고 했다.

호동 RDF 시설은 생활폐기물 중 불에 타는 쓰레기를 골라 고형연료를 만든 뒤 하루 270t을 태워 시간당 12.1㎿의 전기를 생산하도록 설계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