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등학생들이 북한을 적(敵)이라기보다는 경계하면서 협력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통일부는 지난해 10월 22일∼12월 10일 전국 초중고 597곳의 학생 8만2천947명을 대상으로 학교 통일교육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이렇게 조사됐다고 12일 밝혔다.
두 부처는 2017년 548개 학교 학생 9만1천316명을 대상으로 한 같은 조사와 비교했을 때, 1년 전보다 북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북한이 우리에게 어떤 대상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대상'이라고 답한 학생이 2017년 41%에 달했지만 작년에는 5.2%로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대신 '경계해야 하는 대상'이라는 새로 생긴 보기를 택한 학생이 28.2%를 차지했다. '협력해야 하는 대상'이라는 답은 41.3%에서 50.9%로 늘었다. '우리가 도와줘야 하는 대상'이라는 답도 10.8%에서 12.1%로 증가했다.
'북한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느냐'는 질문에 '독재·인물'이라고 답한 학생이 2017년에는 참여 학생의 49.3%였지만, 2018년에는 26.7%에 불과했다. '한민족·통일'이라고 답한 학생은 8.6%에서 24.9%로 많이 늘어났다. '가난·빈곤'(7.2%)이나 '지원·협력'(1.7%)이라고 답한 학생도 전년도보다 늘었다. 하지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답은 '전쟁·군사'(29.7%)였다.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한 학생이 2017년에 이어 작년에도 60%대였는데, 수년 내로 통일이 될 것 같다는 답이 많이 늘어났다. '통일이 된다면 언제쯤 가능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2017년에는 '21년 이후'(31.2%)라는 답이 가장 많았으나, 2018년에는 '6∼10년 이내'(31.3%)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5년 이내'에 통일이 될 것 같다는 답도 2017년 5.1%에서 2018년 16.4%로 증가했다.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로 갈수록 통일에 대해 신중하거나 현실주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은 73.9%가 통일이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고등학생은 54.6%만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통일이 필요한 이유도 초등학생은 '역사적으로 같은 민족이라서'(27.4%)라고 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지만, 고등학생은 '우리나라의 힘이 더 강해질 수 있어서'(26%)라는 답이 가장 많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