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사이트 주소, 즉 url에 붙는 https와 http에 대한 네티즌들의 관심이 높다.
최근 방송통신위원회가 해외 음란, 도박 등의 유해 사이트 차단을 위해 https 방식을 쓰는 이들 사이트에 대한 접속을 차단한다고 밝혀서다.
http와 https 둘 다 프로토콜, 즉 통신 규약을 가리킨다.
http가 기본인데 이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하이퍼 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의 약어이다.
이 http의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토콜이 바로 https이다.
뒤에 Secure Socket(시큐어 소켓)의 약어 s를 추가한 단어다. http라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에 보안 요소를 추가한 것인데, 그 방법은 모든 통신 내용의 암호화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금까지 https 방식 해외 유해 사이트에 대해 기술적으로 차단할 수 없어 법집행력 확보와 이용자 피해 구제 등의 활동에 한계를 겪어왔는데, 이런 법 집행 사각지대를 없애려는 취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