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상주·낙단보 22일부터 일부 개방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지난해 4대강 사업이후 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정부가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한 상주보를 개방한 가운데 예천군 풍양면 삼풍교 인근 낙동강 모래톱이 드러나 있다. 매일신문 DB
지난해 4대강 사업이후 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정부가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한 상주보를 개방한 가운데 예천군 풍양면 삼풍교 인근 낙동강 모래톱이 드러나 있다. 매일신문 DB

농민 반대로 미뤄졌던 낙동강 상류 상주·낙단보가 오는 22일부터 일부 개방된다. 지난달 24일 구미보 개방에 이어 상주·낙단보 수문이 열리면서 올해 안에 4대강 보 처리 방안을 마련하려는 정부 로드맵이 순풍을 탈 전망이다.

환경부는 "22일부터 상주보와 낙단보의 수위를 점진적으로 낮추기 시작해 상주보는 2월 말까지 3m, 낙단보는 3월 중순까지 6m의 수위를 낮출 계획"이라며 "양수장 사용 시기에 맞춰 4월 1일 이전에는 수위를 회복할 예정"이라고 15일 밝혔다.

환경부는 순조로운 보 개방을 위해 '상주·낙단보 개방 추진 업무협력 협약'을 18일 오후 낙동강 상주보사업소에서 체결할 계획이다. 협약식에는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임이자 국회의원, 상주·예천·의성 단체장 및 농민대표 등이 참석한다.

협약에 따라 환경부는 보 개방으로 지하수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 대체 관정을 개발하는 한편 먹는 물에 문제가 생기면 즉시 수위 회복에 나서기로 했다. 또 물 이용에 피해가 발생하면 조속히 피해를 구제하기로 했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해 10월 상주·낙단보를 개방할 계획이었지만, 인근 농민단체 등 지역사회가 ▷양수장 이용 장애 ▷보 수위 저하에 따른 상수도 및 지하수 공급 차질 등 우려의 목소리를 내 추진하지 못했다.

이와 관련, 지역 농민단체는 '농업용수 공급 피해가 확인되면 보 개방을 즉시 중단하고 피해 구제를 위한 모든 조치를 해야 한다'는 조건을 전제로 협약에 동참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날 협약 참여기관 모두는 '이번 보 개방이 보 철거를 전제로 진행되는 게 아니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할 전망이다.

하지만 보 해체에 대한 의구심은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다. 최근 일부 언론의 '금강·영산강 수계 4대강 보 3, 4개가 해체될 것으로 정해졌다'는 보도가 나오는 등 낙동강 상류 일부 보도 결국 해체의 운명을 맞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환경부가 농민 피해를 막기 위해 상주·예천·의성·구미 등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지하수 관정 개발에 나설 경우 '도내 지하수 자원이 고갈되고 오염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