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북미 입장차 커 협상 재개 여부도 불투명… 교착 장기화 가능성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단독회담, 확대회담을 했다고 1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단독회담, 확대회담을 했다고 1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북한과 미국이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원인과 관련해 상반된 주장을 내놓으면서 입장차가 명확하게 드러나 북미 관계가 다시 냉각기에 접어들지 않겠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북한과 미국이 합의 결렬 책임을 서로에게 전가하는 듯한 모양새로도 비춰져 추후 협상 재개 여부와 전망도 불투명하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비핵화 조치와 대북제재 해제 문제를 놓고 현저한 온도차를 보였다는 점에서 교착상태 장기화가 예고된다.

북미는 회담 결렬 이후 기자회견에서도 이 문제를 놓고 분명한 견해차를 드러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8일 JW메리어트 호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제재가 쟁점이었다"면서 북한 측이 전면적 제재 해제를 요구했으며, 미국으로서는 이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이 영변 이외에 추가 우라늄 농축시설 등을 인지하고 있다는 사실에 북한이 놀랐다는 주장도 내놓으며 은근히 북한을 압박했다.

그러자 리용호 북한 외무상은 그로부터 10시간 뒤인 1일 오전 0시 15분 '맞불'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가 요구하는 것은 전면적인 제재 해제가 아니고 일부 해제, 구체적으로는 유엔 제재 결의 11건 가운데 2016∼2017년 채택된 5건, 그 중에 민수경제와 인민생활에 지장을 주는 항목들만 먼저 해제하라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미국이 이러한 상응 조치를 한다면 영변 지구의 플루토늄과 우라늄을 포함한 모든 핵물질 생산시설을 미국 전문가들의 입회하에 공동 작업으로 영구적으로 완전히 폐기한다는 제안을 했으나, 미국이 영변 외 핵시설의 폐기 등 플러스 알파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합의가 이뤄지지 못했다는 것이다.

북한의 기자회견 이후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북한이 기본적으로 전면적인 제재해제를 요구했다고 다시 밝혀 이를 재반박하는 모양새가 됐다.

벌써부터 북미가 향후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기싸움에 돌입한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현재로선 북미가 당장 대화를 재개하기보다 냉각기를 가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실무협상이 재개되더라도 현재 북미 간 입장차를 큰 틀에서 좁히기 어려운 간극이 확인돼 상당한 진통을 겪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