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내 PC방 1세대가 바라본 군인의 휴대폰 사용
06년 군번인 이종원(34) 씨는 사지방 1세대이다. 이 씨는 사지방이 처음 생길 당시 논란이 많았다고 기억한다. "군인이 인터넷을 사용하면 군 기밀이 유출된다거나 군 기강이 많이 빠질 거란 얘기가 많았죠." 실제로 인터넷 열기는 오래가지 않았다. 사지방 운영 초반에는 사용자가 많아 대기하는 장병도 있었지만 곧 열기가 사그라졌다. 장병들이 많이 접속하는 사이트가 '싸이월드'나 포털 사이트로 한정되어 있었고 게임을 할 수도 없었다. 물론 문제점도 있었다. 당시만 해도 사지방은 돈을 내고 사용했기 때문에 체크카드에 돈이 있는 사람만 자주 들락날락했다. 이 씨는 장병들이 휴대폰을 사용하면 더 많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 걱정했다. 휴대폰 기종에 따른 위화감도 생길 수 있고, 요금제도 다르면 데이터를 무제한으로 사용하는 장병이 있는가 하면 아닌 사람도 있을 거란 얘기다. "이러다 부대 내에도 와이파이를 설치해달라는 거 아닌지 모르겠어요. 아무리 새 시대에 맞춘다고 하지만 군대는 어느 정도 절제와 인내가 필요한데 부족한 게 없으면 전시 상태에서 통제가 될까요?"
▶곰신이 바라본 군인의 휴대폰 사용
달서구 사는 박지윤(23) 씨는 2017년 8월 곰신(군대 간 남자친구를 기다리는 여자친구. '고무신'의 줄임말)이 되었다. 최근 남자친구가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면서 매일 연락을 주고받는다. 박 씨는 주로 자격증 시험 준비 중인 남자친구를 위해 자료나 참고로 할 만한 사이트를 미리 찾아 알려준다. 예전 수신용 전화를 사용할 때는 다른 사람의 눈치를 보거나 서로 통화 시간을 맞추기 힘들어 지금처럼 함께 자격증을 준비하는 일은 어려웠다.
박 씨는 남자친구로부터 부대 안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는 얘기도 들었다. 예전에는 바깥세상과 소통할 통로가 없으니 장병들끼리 같이 취미 생활이나 이야기도 많이 하는 편이었지만 최근엔 각자 자리에서 휴대폰만 쳐다보는 일이 잦아졌다고 한다. 박 씨는 "장단점이 있지만 결국엔 주어진 환경을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개인의 몫인 것 같다. 남자친구도 휴대폰 사용이 공부하고 사회복귀를 위해서는 도움 되지만 부대 생활이 너무 개인적으로 바뀌어 걱정하더라."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