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기술에서 세계 선두를 꿈꾸는 중국이 수십 개 대학에 '인공지능 학과'를 대거 개설하기로 했다.
31일 중국 과기일보와 홍콩 명보에 따르면 중국 교육부는 최근 발표한 '2018년도 대학 본과 전공 준비안 및 심사 결과'에서 중국 전역 35개 대학에 공학 학위를 수여하는 4년제 인공지능 학과를 신설한다고 밝혔다.
이들 대학에는 난징(南京)대학, 상하이교통대학 등 교육부 직속 대학과 하얼빈(哈爾濱)공대, 베이징이공대 등 공업정보화부 직속 대학, 중베이(中北)대학, 중위안(中原)공학원, 화난(華南)사범대학 등 각 성 주관 대학 등이 포함된다.
중국 교육부는 이밖에 인공지능과 관련 있는 학과들을 대거 신설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101개 대학은 '로봇 공정' 학과를 신설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으며, 203개 대학은 '데이터 과학과 빅데이터 기술', 25개 대학은 '빅데이터 관리와 응용' 학과를 세울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
중국 교육부는 지난해 4월 '대학 인공지능 혁신 행동계획'을 발표하고 각 대학이 인공지능 인재 양성에 나설 수 있도록 대대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은 미래의 기술 패권을 좌우할 인공지능 분야에서 미국을 제치고 세계 선두로 올라서겠다는 야망 아래 인공지능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 비영리 조사기관인 '앨런 AI 연구소'에 따르면 인용횟수를 따져 상위 10%를 차지한 정상급 AI 논문에서 미국은 점유율 29%로 선두를 지켰으나 중국은 26%로 그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미국이 1982년 이 순위에서 47%로 압도적 우위를 누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의 가파른 추격세가 여실히 드러난다.
논문 인용횟수 상위 10% 진입은 그 분야 연구에서 영향력을 나타내는 잣대로 인식된다.
인용횟수와 관계없이 전체 AI 논문의 수에서는 이미 중국이 미국을 따라잡았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