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가 전국 최초로 막대한 시·도비를 투입, 기업수요 맞춤형 혁신인재 양성 및 지역 정착을 위해 시행하는 '휴스타'(HuStar·대구경북혁신인재 양성사업·매일신문 3월 19일 자 2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자칫 지역대학을 위한 지원사업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 8일 이 프로젝트 시행계획을 공고하면서 혁신아카데미사업 신청기관을 '대구경북 소재 대학 내 연구소(연구센터)' '연구기관' '기업지원기관'으로 명시했다. 또 혁신아카데미사업 관리지침을 통해 '기업지원기관'을 비영리기관 중 '재단법인'으로 제한했다. 사업에서 핵심 역할을 해야 하는 지역기업, 기업단체들의 주체적 참여가 어려워진 셈이다.
경제계 관계자들은 "공고대로라면 사업 핵심 주체이어야 할 기업과 기업단체들은 주도적 역할을 하기 힘들어진다"며 "결국 지역대학 위주 사업으로 변질되면서 기존 산학협력사업 문제점을 반복할 수밖에 없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특히 "기존 산학협력이 대학 위주로 진행되면서 기업 현장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인재와 기업 간 미스매치가 심각했다. 기업을 위한 산학협력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대학을 위한 산학협력이었던 셈"이라며 "지역민의 세금을 들여 휴스타사업을 하면서 똑같은 잘못을 되풀이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휴스타사업이 재정난에 몰린 지역대학을 위해 편법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계했다. '혁신아카데미사업 예산편성 항목 및 세부 집행 기준'에서 예산으로 대학 등의 건물 및 건축 설비 유지·보수를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혁신아카데미 과정은 현장 실무교육 5개월과 기업 인턴 근무 3개월 등 모두 8개월로 구성된다.
일부 지역대학 교수들은 "혁신인재 양성과 지역정착을 위해 지방정부가 상당한 세금을 투입한다는 발상은 참신하고 새롭다"면서 "이런 취지를 제대로 살릴 수 없을까 봐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지역기업들은 각 공모 사업별 운영위원회에 50% 이상 참여할 수 있고, 예산 사용도 대학 건물의 증·개축과 신축을 금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휴스타 사업은 2027년까지 2단계에 걸쳐 1천600억원을 들여 혁신인재 3천명을 길러내 지역에 정착시키는 대규모 프로젝트이다. '혁신대학' '혁신아카데미' '일자리 보장제'가 골자이다. 1단계로 올해부터 2022년까지 혁신대학 187억원, 혁신아카데미 370억원의 예산이 배정돼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