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타임캡슐] 봄소풍

1983년 5월 4일 달성공원 봄소풍 사진

1983년 5월 4일 달성공원 앞. 봄소풍 나온 대구시내 초등학생들로 가득하다. 매일신문 DB
1983년 5월 4일 달성공원 앞. 봄소풍 나온 대구시내 초등학생들로 가득하다. 매일신문 DB

사랑, 고백, 합격, 시작, 보너스…. 설레는 말들을 나열해본다. 단어를 적기만 했을 뿐인데 기분이 들뜬다. 쓰면서 그 경험들을 반추하기 때문이리라. 물론 엔도르핀이 분수처럼 터져 나오는 기분은 아니다. '이미 겪은' 것, 선험적인 것이라 재방송에 가까워서다.

가끔은 반추 과정에서 덜 씹힌 게 발견되기도 한다. 분명 있었는데 나만 기억 못 하는 것들이다. 대개 어렸을 때 기억일수록 그런 경향이 짙다. 부모의 기억과 아이의 기억이 다르고 교사의 기억과 학생의 기억이 다르다. 기억의 개별적이면서 선별적인 저장인데 신기하면서도 반갑다.

사진은 1983년 5월 4일 오전 달성공원 앞에서 찍힌 봄소풍 풍경이다. '4개 국교생(국민학생의 줄임말로 지금의 초등학생)이 함께 몰려 대혼잡을 빚고 있다'며 '고생길 국교생 소풍'이라는 제목으로 이틀 뒤인 6일 자 본지 지면에 실렸다. 4개 학교 학생이 모였다면 적지 않은 수였을 것이다. 지금이야 한 반에 25명 안팎이지만 1980년대에는 60명을 넘어서기 일쑤였다. 1년 동안 같은 반이었음에도 모르는 급우가 있었을 정도였으니.

아이들이 우르르 몰려 있으니 현장 취재를 했던 기자의 눈에는 대혼란이었을 터. 그러나 아이들의 기억도 그랬을까. 소풍 다음 날은 어린이날이었다. 연중 설렘의 최대치에 이른 날이었을 거라 짐작한다.

지금의 아이돌 공연장 입장 직전과 비슷했을 것이다. 분명 아이들은 김밥에 햄이 들어갔는지 소시지가 들어갔는지 과자는 꿀 발린 꽈배기 과자인지 새우맛 나는 과자인지 탐문하며, 달성공원의 호랑이는 어떤 모습일 거라느니 상상하며 재재거렸을 것이다.

4월도 중순을 넘어섰다. 봄소풍 떠나기 좋은 날씨가 이어지고 있다. 추억을 반추하기 좋은 날씨다.

※'타임캡슐'은 독자 여러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추억을 간직하고 있는 사진, 역사가 있는 사진 등 소재에 제한이 없습니다. 사연이, 이야기가 있는 사진이라면 어떤 사진이든 좋습니다. 짧은 사진 소개와 함께 사진(파일), 연락처를 본지 특집기획부(dokja@imaeil.com)로 보내주시면 채택해 지면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진 소개는 언제쯤, 어디쯤에서, 누군가가, 무얼 하고 있는지 설명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채택되신 분들께는 소정의 상품을 드립니다. 사진 원본은 돌려드립니다. 문의=특집기획부 053)251-1580.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