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IS, 점령지 잃고도 여전한 위협"…'우두머리 새 영상'으로 입증

'칼리프' 바그다디, IS 이데올로기 상징…구심점·동기부여 역할,,,"스리랑카 테러, IS 최후전투 복수" "기독교 상대 계속 복수"
"도피 중 5년만에 새 영상 유포…공격조종 등 영향력 유지 과시"…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조직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가 '칼리프'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의 모습이라고 주장하는 영상에서 캡처한 사진. IS 미디어 조직 알푸르칸이 29일(현지시간) 공개했다. 진짜 바그다디의 영상이라면 2014년 7월 이라크 모술에 있는 알누리 대모스크의 설교 모습이 공개된 이후로 처음이다. 턱수염의 영상 속 바그다디는 최근 스리랑카의 부활절 테러가 자신들의 최후 거점이었던 시리아 동부 '바구즈' 전투에 대한 복수라며 기독교를 상대로 복수를 계속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연합뉴스

수니파 극단주의조직
수니파 극단주의조직 '이슬람국가'(IS) 우두머리가 5년만에 모습을 드러내며 건재를 과시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가 우두머리 아부 바크르 알바그다디의 모습이라고 주장하는 영상을 5년 만에 공개했다. 이 영상이 진짜라면 IS가 점령 영토라는 물리적 기반을 잃고도 여전히 상존한 위협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IS의 미디어 조직 알푸르칸은 29일(현지시간) '칼리프' 바그다디의 메시지라며 수염이 덥수룩한 남성이 앉은 채로 발언하는 모습이 담긴 18분짜리 영상을 유포했다. 2014년 7월 이라크 모술에 있는 알누리 대모스크의 설교 모습이 공개된 이후 처음 제시된 영상이다.

영상 속 바그다디는 "바구즈 형제들의 복수를 위해 스리랑카에서 형제들이 부활절에 십자군(기독교인을 가리킴)의 자리를 뒤흔들어 유일신 신앙인(IS 또는 이슬람 원리주의자를 가리킴)의 마음을 달랬다"고 칭찬했다. 바그다디로 보이는 인물은 기독교를 상대로 '복수 공격'이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하며 특히 '십자군 프랑스와 동맹을 상대로' 공격을 배가하라고 서(西)아프리카 무장대원들에게 촉구했다.

IS는 지난달 시리아 동부 바구즈 전투를 끝으로 본거지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모든 점령지를 상실했다.물리적 실체로서 '칼리프국'(이슬람 신정일치 국가)은 패망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IS는 시리아 동부에서 궁지에 몰리기 전 '탈중심화', '분권', '프랜차이즈' 구조로 전환했기에 본거지가 패망했다고 해서 조직 전체가 궤멸하지는 않는다고 분석했다. 영토나 수도를 잃은 IS를 유지하는 힘으로는 이데올로기, 미디어, 각지의 추종자가 꼽힌다. 미국의 초당파 정책단체 '극단주의 대응 프로젝트' 등에 따르면 사이버 세계에서 IS의 영향력은 여전히 여타 극단주의조직의 추종을 불허한다. IS의 물리적 기반이 사라졌어도 이데올로기는 여전히 강력한 탓이다.

IS 이데올로기의 상징적 존재가 바로 '칼리프'로 지명된 최고지도자 바그다디다. 바그다디의 생존은 IS 조직과 추종자들에게 구심점이자 공격 동기로 작용한다. 미국이 옛 알카에다 수괴 오사마 빈 라덴과 같은 2천500만달러(약 290억원) 현상금을 내걸고 추적하고 있지만 성과를 내지 못했다. 이번 영상은 바그다디가 건재하며 점령지를 잃고도 결정적 시기에 얼마든지 공격을 조종하며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어서 심각한 위험으로 지적되고 있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