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 가운데 시중은행들이 이미 일부 정기예금 금리를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금융시장에서 국고채 등의 금리 하락 흐름과 함께 향후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풀이된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일부 정기예금 상품 금리를 0.01~0.20%포인트(p) 인하했다. 신한은행은 이달 11일 '달콤커피 정기예금' 'X GOLF 정기예금' 금리를 연 1.73%에서 1.72%로 내렸다. 13일에는 '쏠편한정기예금' 금리를 연 1.83%에서 연 1.81%로 0.02%p 낮췄다.
앞서 하나은행은 3일 '369정기예금' 1년제 최고금리를 2.1%에서 1.9%로 0.20%p 내렸고, 우리은행은 10일부터 '위비SUPER주거래예금2' 금리를 연 2.0%에서 연 1.90%로 인하했다.
올해 초에는 2%대 금리의 정기예금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중 금리가 2%를 넘어서는 상품은 하나은행의 'N플러스 정기예금'(2.05%)이 유일하다.
은행들은 국고채 금리 하락 등 최근 시장금리 흐름에 맞춰 대출금리를 내렸기 때문에 예금금리 하향 조정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더불어 올해 안에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되면서 수익성 확보를 위해 은행들이 선제적으로 대응한 측면도 있다.
이런 가운데 정기예금 잔액은 늘고 있다.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이달 13일 기준으로 629조3천265억원이다. 1월 605조5천474억원과 비교하면 23조7천788억원(3.9%)이 증가했다.
이는 가계 등이 낮은 금리에도 다른 투자처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부동산 시장 침체와 함께 미중 무역분쟁으로 주식시장이 불안해지면서 은행에 돈을 넣어두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저성장과 저금리가 이어질 것"이라며 "이에 대응해 분산투자하면서 수익을 늘릴 것"을 제안했다. 국내외 경제 여건상 기준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해외 채권펀드나 대출형 부동산 펀드 등 투자를 다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