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남대의료원 노조파괴, 정부가 진상 규명하라"…靑 "관심 갖고 챙겨보겠다"

영남대의료원 고공농성 58일 째, 논의 진전 없자 청와대서 집회

대구 민노총이 27일 오전 청와대를 찾아 영남대의료원 노조파괴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제공.
대구 민노총이 27일 오전 청와대를 찾아 영남대의료원 노조파괴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제공.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이하 대구 민노총)는 27일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영남대의료원 노조 파괴 진상조사와 해고자 원직 복직에 정부가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후 진행된 노조와의 면담에서 청와대는 '관심 갖고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1일 영남대의료원 해고자 2명이 고공농성에 돌입한 지 58일이 지났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자 대구 민노총은 정부에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전국보건의료노조와 '영남대의료원 노조 정상화를 위한 범시민대책위원회'도 함께 했다.

이들은 영남대의료원 해고자 박문진(58) 보건의료노조 지도위원과 송영숙(43) 영남대의료원지부 부지부장의 원직 복직과 함께, 창조컨설팅 심종두 노무사의 계획적인 노조파괴에 대한 진상 규명을 촉구했다.

대구 민노총은 "문재인 정부도 영남대의료원 노조파괴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노조파괴가 시작됐던 2006년은 문 대통령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역임할 때"라며 "현 정부가 노동존중의 약속을 파기한 것이 아니라면 이제라도 노조파괴법 강행을 멈추고 노조파괴자 가중 처벌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청와대 시민사회수석비서관실 행정관과 면담을 진행했다. 대구 민노총에 따르면 청와대 행정관은 면담에서 "영남대의료원 상황은 알고 있고, 빨리 해결되기를 바란다. 청와대도 관심을 갖고 챙겨보겠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영남대의료원 측은 "노조파괴는 없었으며 의료원 규정으로는 해고자를 복직시킬 방법이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때문에 대구고용노동청이 제안한 '제3자를 통한 사적조정'도 조정위원 선임 단계에서 진척이 없는 상황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