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시설 피격 사태는 4년 넘게 이어진 예멘 내전과 관련이 깊다. 이란의 지원을 받는 예멘 반군은 이번 공격을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했고 미국은 이란을 공격의 주체로 지목, 이번 공격이 '금세기 최악의 참사'로 불리는 예멘 내전의 연장선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멘 내전은 예멘 정부를 지원하는 사우디 동맹군과 시아파 반군을 지원하는 이란의 대리전 양상을 띠고 있다. 무슬림이 국민 대다수인 예멘은 수니파가 인구의 56%, 시아파가 43%를 차지하고 있다. 사우디는 시아파 이슬람 국가인 이란이 시아파 예멘 반군을 군사 지원해 아라비아반도에 교두보를 마련하면 안보가 위협당한다고 보고 있으며 미국은 사우디 동맹군을 지원하고 있다.
1990년 남북 간 합의로 통일 정부를 구성한 예멘은 2010년 '아랍의 봄' 여파로 2011년 말 민주화 시위가 촉발되면서 당시 33년간 집권한 독재자 알리 압둘라 살레가 2012년 2월 하야했다. 부통령이었던 압드라보 만수르 하디가 뒤를 이어 과도정부 대통령으로 선출됐으나 2014년 7월 예멘 북부의 시아파 후티 반군이 무장봉기를 일으키며 내전이 발생했고 다음해 3월 사우디 주도의 아랍 동맹군이 전격적으로 군사 작전을 펴 개입하면서 내전이 본격화했다.
사우디의 전력이 압도적이어서 쉽게 끝날 듯했던 내전은 반군 후티의 끈질긴 저항으로 장기화했다. 사우디와 미국은 이란의 지속적인 군사 지원으로 예멘 내전이 끝나지 않는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반면, 이란은 반군에 군사적 지원을 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하면서, 사우디 왕실의 강경한 역내 개입 정책이 내전의 원인이라고 반박해 왔다.
중동의 양대 패권국인 사우디와 이란의 세력 다툼 속에 세계 최빈국 예멘 국민은 교전과 폭격과 전염병, 식량난 등의 직격탄을 맞으면서 나락으로 떨어졌다. 4년이 넘는 내전으로 공식 사망자만 1만 명에 이르고, 2천800만명의 예멘 국민 가운데 2천200만명이 긴급 구호가 필요할 만큼 최악의 인도적 위기에 빠졌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