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운영하고 있는 독도 전담 조직을 가칭 '동해안독도정책과'로 통합·개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005년 일본의 독도 침탈 움직임에 대응해 독도지킴이팀으로 시작된 이 조직은 2008년 독도수호대책본부, 2011년 독도정책과, 2014년 독도정책관실로 변화를 거친 뒤 지난해 독도정책과로 다시 변경돼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10여 명의 직원이 독도 관련 정책과 홍보 업무를 주로 추진하고 있다.
문제는 국내를 대상으로 한 홍보 업무의 경우 경북도 산하기관인 독도재단과 중복된다는 지적이 많았던 데다 정책 업무도 해양수산국 아래 배치돼 전략·기획 기능 역량에 아쉬움이 많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올해 말 또는 내년 초로 예정된 대규모 조직개편(매일신문 18일 자 12면)에서 독도정책과를 동해안전략산업국 산하로로 옮겨 동해안정책과와 통합·개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정책 기획 시 독도에만 한정하는 게 아니라 동해안 전체를 대상으로 한 구도 속에 독도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판단이다. 홍보 업무는 독도재단에 이관해 그간 모호했던 독도재단 기능을 강화하는 계기로 삼겠다는 것이다.
다만 독립된 과 단위 조직으로 존재하던 독도정책과가 기존 동해안정책과와 합쳐서 동해안독도정책과로 바뀐 것을 두고 '조직의 위상이 떨어진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올 우려도 제기된다.
특히 독도 업무의 상징성이 워낙 큰 탓에 조직 개편의 키를 쥐고 있는 경상북도의회가 어떤 의견을 내놓을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조직의 업무 효율성 향상, 전략·기획 기능 강화로 독도 업무에 더욱 힘을 실겠다는 구상"이라며 "아직 내부 검토 단계여서 결정된 것은 없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