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유시민 "우리는 언제든 구속" 대구 발언 파장

조국사태 검찰·언론 싸잡아 비판…야 “혹세무민 큰 죄”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16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초청 특강에서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16일 대구 북구 엑스코에서 열린 초청 특강에서 '언론의 역할과 시민의 역할'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조국 사태를 통해 제가 받은 느낌은 '우리 모두는 언제든지 구속될 수 있다'"는 발언이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유 이사장은 지난 16일 노무현재단 대구경북지역위원회가 대구 엑스코에서 연 '언론의 역할과 시민의 역할'이라는 주제의 강연에서 '검찰이 두려운가'라는 한 방청객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어 "구속되지 않은 이유는 검찰이 입건하지 않았고 법원이 영장 발부를 안 했기 때문이다. 즉 검찰과 법원이 봐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러니 어찌 검사가 겁나지 않겠는가. 봐주기만 바랄 따름"이라며 "그런 두려움에 시민들이 서초동에 모인 것이 아닐까. 윤석열 검찰총장은 이런 시민의 마음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다. 그 점이 매우 안타깝고 무섭다"고 검찰을 겨냥했다.

언론을 향해선 "언론은 '권력에 대한 비판과 견제'의 역할을 하는데 그 대상은 정치 권력, 특히 청와대·여당에만 한정돼있다"며 "지금은 대통령보다 검찰이 더 세다"고 언급했다.

이어 "검찰이 흘려보내는 정보를 비판적으로 다루는 기사를 본 적 있느냐"고 주장했다.

최근 북한 주민 송환 논란과 관련해선, "사람을 16명이나 죽이고 왔는데 여기서 재판할 수도 없고, 재판하고 가두면 우리 세금으로 밥을 먹여야 하니까 돌려보낸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야권은 반박하고 나섰다.

황규환 자유한국당 청년부대변인은 17일 논평을 통해 "확증편향의 노예가 된 유시민의 비상식적인 궤변 퍼레이드, 제발 그만하시라"고 비판했다.

그는 "대다수의 상식적인 국민들은 조국사태를 통해 누구나 법을 어기면 구속될 수 있음을 느꼈을 것"이라며 "거짓을 사실처럼 말하고, 이분법적 사고로 편을 갈라 선동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김정화 바른미래당 대변인도 논평에서 "국민의 정신 건강에 '독버섯'이 되기로 한 유시민 요설가(妖說家)의 요설이 요란하다"며 "혹세무민, 선동, 궤변은 큰 죄"라고 비판했다.

하태경 미래당 의원도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유 이사장은 요즘 무슨 최면에 걸린 사람처럼 사리분별을 못한다"고 깎아내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