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준의 시사로 읽는 한자] 惻隱之心(측은지심), 乘人之危(승인지위)와 공보사수(公報私讐): 인간의 삶

김준 고려대 사학과 초빙교수
김준 고려대 사학과 초빙교수

사람들은 물에 빠진 아이를 보면 본능적으로 구하려 든다. 마찬가지로 다른 사람이 위험이나 불행에 처했을 때 불쌍히 여기는 마음이 생기는 것은 인지상정일까. '맹자'(孟子) 고자(告子) 상편에서는 이러한 마음가짐이 측은지심(惻隱之心)이며, 곧 인(仁)이라고 했다.

자신과 이해 충돌이 있는 사람이 물에 빠졌을 경우에도 측은지심이 발휘될까. 중국 후한(後漢·25∼220) 때 양주(涼州)라는 곳에 개훈(蓋勳)이라는 젊은 관리가 있었다. 당시 양주에는 무위태수(武威太守)라는 자가 횡포를 부려 소정화(蘇正和)라는 관리의 감사를 받게 되었다. 그러자 무위태수의 배후 세력을 두려워하고 있던 이 지역의 감찰관(刺史)인 양곡(梁鵠)은 오히려 소정화를 죽여서 사건을 무마하려고 했다. 그는 자신의 친구이자 부하인 개훈에게 의견을 물었다. 소정화에게 원한이 있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개훈에게 이 기회에 공보사수(公報私讐), 즉 공권력(公)으로 사(私)적인 복수(讐)를 하(報)라고 부추겼다. 그러나 개훈은 "남의 위급한(人之危) 상황을 틈타(乘)는 것은 어질지 못하다"며 양곡을 설득해 소정화를 죽일 마음을 거두게 했다. '후한서'(後漢書) 우부개장열전(虞傅蓋臧列傳)에 나오는 이야기로 타인의 위급한 상황을 틈타 해치는 행위를 비꼴 때 쓰는 승인지위(乘人之危)의 유래이다. 개훈은 나중에 고위직에 오르고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고 한다.

사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듯, 인생은 직간접적인 이해관계로 얽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럴 때 사람들은 측은지심보다는 승인지위나 공보사수를 택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맹자는 측은지심이 없는 인간은 사람이 아니라고 했다(非人). 한 해를 보내며 나는 인간다운 사람이었던가를 묻게 된다. 사람에 따라 최근 검찰 수사에 대해 시비가 갈린다. 측은지심, 승인지위, 공보사수 가운데 나는 어느 마음일까 궁금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